최근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는 이슈 중 하나로 유명인들의 학교폭력(이하 학폭) 의혹을 꼽을 수 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연예계, 스포츠계 유명인들에게 학폭을 당했다는 고백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 자신이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이들은 가해자로 지목한 유명인과 같은 학교 학생이었음을 사진이나 학생증 등으로 인증하면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팀은 3월 5일 ~ 8일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유명인의 학폭 의혹을 얼마나 믿고 있는지, 의혹이 사실이라면 어떠한 처우가 적절한지 물었다. 또한 학폭 심각성과 책임 주체를 물어 학폭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주요 내용
- 10명 중 8명(81%)이 연예인이나 스포츠 선수 학폭 의혹이 사실인 것 같다고 답했다. 10명 중 7명(74%)은 유명인이 학폭 가해자로 지목될 경우 활동을 중단하고 사실 여부를 가리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하였다.
- 유명인의 학폭 가해 사실이 확인되면 소속사·구단에서 퇴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이 81%, 연예계·스포츠 활동을 영구정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이 74%였다.
- 학폭 가해 유명인이 피해자에게 사과를 하고 피해자가 이를 받아들일 경우, 활동을 재개해도 된다는 응답은 47%였다. 반면 피해자가 사과를 받아들이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활동을 계속하면 안 된다는 응답 역시 47%로, 두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 10명 중 7명(73%)이 과거에 비해 학폭 정도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폭이 과거에 비해 심각하거나 변화가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가해자의 학폭 심각성 미인지(74%), 학교 대응 문제(62%), 학폭 대응 매뉴얼 미흡(56%) 등의 순이었다.
- 실제로 3명 중 1명(29%)이 학창시절 학폭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해, 우리 사회의 학폭 심각성이 낮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폭 책임은 가해학생(91%), 담임교사 및 교직원(62%), 가해학생 학부모(62%) 등의 순이라고 보았다.
- 학폭 근절 방안은 학교·교육청의 적극적인 개입 및 처벌 강화(49%), 학생 인성교육 강화(39%), 학교 내외부에 CCTV 설치 확대(27%) 등의 순으로 조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유명인의 학교폭력 의혹과 법적 대응에 대한 생각
10명 중 8명(81%), 유명인의 학폭 의혹 사실인 것 같아
10명 중 7명(74%), 학폭 가해자로 지목되면 활동을 중단하고 사실 여부를 먼저 가려야
연예인이나 스포츠 선수에게 학폭을 당했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10명 중 8명이 사실인 것 같다고 답했다(사실인 것 같다 81%, 거짓인 것 같다 15%, 잘 모르겠다 4%).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피해사실을 매우 강경한 태도로 자세하게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의혹에 사실성을 더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명인이 학폭 가해자로 지목될 경우, 어떻게 처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10명 중 7명이 활동을 중단하고 사실 여부를 가리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하고(74%), 사실 확인 전까지 활동해도 괜찮다는 응답은 19%에 그쳤다. 학폭 의혹만으로는 진위여부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사실이 밝혀질 때까지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법적 대응에 긍·부정적인 시각 반으로 갈려
가해자로 지목된 유명인의 법적 대응에 대해서는 의견이 반으로 갈린다. 진실을 밝히기 위해 법적 대응을 한다는 응답이 46%, 학폭 사실을 감추고 피해자를 압박하는 대응으로 보인다는 응답이 42%였다. 학폭 의혹은 사실로 보는 응답이 높지만, 가해자로 지목된 유명인이 강경한 방식으로 대응하면 의혹이 사실이 아니기 때문에 진실을 밝히려는 행동으로 본다는 인식이 절반에 이르는 것이다.
학폭 피해경험 유무에 따라 법적 대응에 대한 생각에 차이가 있었다. 학폭 피해경험이 있는 응답자(49%)는 경험이 없는 응답자(39%)에 비해 학폭 사실을 감추고 피해자를 압박하기 위해서 법적 대응을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유명인이 학교폭력 가해 시 처우
학폭 가해가 사실이면 소속사·구단에서 퇴출하고, 활동도 영구 정지해야
유명인의 학폭 가해 사실이 확인된 후 어떠한 처우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물었다. 소속사·구단에서 퇴출해야 한다는 응답이 81%(전적으로 동의 44%, 동의 37%), 연예계·스포츠 활동을 영구정지 해야 한다는 응답이 74%(전적으로 동의 41%, 동의 33%)였다. 학폭의 죄질을 매우 무겁게 보면서 엄중한 처우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가해자가 사과하고 피해자도 이를 받아들인다면,
활동 일체 금지(47%), 사과하면 자숙 후 활동해도 돼(41%)
다만, 가해자가 사과를 하고 피해자가 이를 받아들인다면 활동 가능성에 대한 입장이 거의 절반으로 나뉜다. 피해자가 가해자의 사과를 받아들이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활동 일체를 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이 47%, 피해자가 사과를 받아들이면 활동을 해도 된다는 응답이 47%(일정 기간 자숙 후 활동 가능 41%, 사과 받아들이면 바로 활동 가능 6%)로 의견이 반으로 나뉘었다.
유명인의 학폭 의혹이 제기되면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고(74%), 학폭 가해가 사실로 판명이 나면 퇴출(81%)·활동 정지(74%)와 같은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그만큼 우리 사회는 학폭을 용인할 수 없는 행위로 본다는 응답이 높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유명인의 학폭 이슈를 보고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학폭 실태를 파악하고 근절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우리사회 학교폭력 심각성과 책임
10명 중 7명, 학폭 정도가 과거에 비해 심각해(73%)
가해자의 학폭 심각성 미인지(74%) > 학교 대응 문제(62%) > 매뉴얼 미흡(56%) 순으로 문제가 있어
현재 우리 사회의 학폭 정도가 과거에 비해 어떠한지 물었다. 10명 중 7명이 과거에 비해 학폭 정도가 심각하다고 답했고(73%), 변화가 없다는 응답도 19%였다.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8%에 그쳤다. 학폭이 과거에 비해 심각하거나 변화가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가해자가 학폭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해서(74%), 학교의 대응이 적극적이지 않아서(62%), 학폭 대응 매뉴얼이 미흡해서(56%) 등의 순이었다.
학폭 피해경험 있다 29%
폭력 가해 경험자 중에서는 67%가 학폭 피해경험 있다고 답해
실제로 3명 중 1명이 학창시절 학폭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해(있다 29%, 없다 71%) 우리 사회의 학폭 심각성이 낮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대의 45%, 30대의 39%가 학폭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한 점은, 학폭이 과거에 비해 심각하다는 응답(73%)과 연결되는 대목이다.
폭력*을 행사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 중에서 학폭 피해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67%였다. 학창시절 폭력을 당했던 경험이 향후 폭력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어느 정도 보여준다. 우리 사회는 학폭 실태를 여실히 파악하고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간구해 현 시점의 학폭 근절, 더 나아가 미래 사회의 안전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 이번 조사에서 폭력은 ‘신체적으로 상해를 입히거나 정신적, 심리적인 압박을 가하는 행위. 욕설·협박·성희롱·성추행·성폭행·스토킹 등 신체적·정신적 또는재산상의 피해를 주는 행동과 온라인에서 가해지는 정신적, 심리적 압박’ 으로 정의함. 학창 시절의 폭력 행사 뿐만 아니라 성인기의 폭력 행사까지를 모두 포함함
학폭 책임 순위, 가해학생(91%) > 가해학생 학부모(62%) > 담당교사·교직원(62%) 순
학폭 발생 시 가해학생(91%), 담임교사 및 교직원(62%), 가해학생 학부모(62%) 등의 순으로 책임이 있다고 보았다(1+2+3순위 합). 1순위로만 보면 가해학생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79%로 월등히 높았고 가해학생 학부모(9%), 담임교사 및 교직원(5%) 등은 10%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학교폭력 근절 방안
학폭 근절 방안 1+2순위 :
학교·교육청의 개입 및 처벌 강화(49%) > 학생 인성교육 강화(39%) > 학교 내외 CCTV 설치 확대(27%) 순
학폭이 과거에 비해 심각하거나(73%) 변화가 없는 수준이고(19%), 그 이유로는 가해자의 인지(74%)와 학교 대응 방식(62%) 등에 문제가 있다고 꼽았다. 또한, 가해학생(1순위 응답 79%)에게 학폭 책임이 가장 크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학폭 근절을 위해서는 학생과 학교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학폭 근절 방안으로 학교·교육청의 적극적인 개입 및 처벌 강화(49%), 학생 인성교육 강화(39%), 학교 내외부에 CCTV 설치 확대(27%) 등의 순으로 조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2030 강력한 처벌과 감시 우선, 5060 인성교육 강화 우선
학폭 피해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강력한 처벌(59%)과 감시(32%) 필요하다는 응답 높아
연령과 학폭 피해경험 유무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안에 차이가 있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리고 학폭 피해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학교·교육청의 개입과 처벌강화(20대 62%, 30대 59%, 학폭 피해경험 있음 59%), CCTV 설치 확대(20대 42%, 30대 37%, 학폭 피해경험 있음 32%) 등 강력한 처벌과 감시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반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폭 피해경험이 없는 응답자는 학생 인성교육 강화(50대 39%, 60세 이상 53%, 학폭 피해경험 없음 42%), 학폭 예방 및 대처 방법 교육(50대 27%, 60세 이상 31%)등 올바른 사고방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유명인들의 학폭이 사회 이슈가 된 시점에서, 학폭 문제가 단순히 그들의 잘잘못 따지기에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학교는 사회에 발돋움하기 이전의 교육기관으로서 학생들이 중요한 시기를 보내는 공간이다.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사람들 중 학폭 피해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절반을 훌쩍 넘었다. 이는 학창시절 경험이 개인의 생각과 행동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학폭 문제가 과거에 비해 심각하다고 느끼는 현 상황에서, 학폭에 대한 명확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1년 2월 기준 약 57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20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6,320명, 조사참여 1,379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8.8%, 참여대비 72.5%)
- 조사일시: 2021년 3월 5일 ~ 3월 8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 [질병관리청-한국리서치 특별기획] 감염병 관련 국민인식조사 - 2023-11-14
- [기획] 수능, 공정한 시험인가? 앞으로의 수능은 어떤 방식이어야 하는가? – 수능에 대한 여론조사 - 2023-11-07
- [기획] 이태원 참사 1주기 국민인식조사 -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