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인식조사 - 총 4개의 글

각 연령대에 대한 친근감과 세대차이

자신의 연령대 포함해 바로 위, 바로 아래 연령대까지도 평균 이상의 친근감
아래보다는 위 연령대에 대한 친근감이 더 높아

본인이 속한 연령대에 대한 친근감이 가장 높은 것은 예상 가능한 결과이다. 모든 연령대에서 본인이 속한 연령대에 최소 7.5점 이상의 높은 친근감을 보여주었다(10점 만점. 점수가 높을수록 친근감 높음).

다른 연령대에 대한 친근감은 어떨까? 본인과 가까운 연령대일수록 친근감이 높았는데, 모든 연령대에서 본인의 바로 위, 바로 아래 연령대에 대해서는 5점 이상, 보통 이상의 친근감을 느끼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바로 아래 연령대보다는 바로 위 연령대에 대한 친근감이 더 높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대는 10대(5.5점)보다는 30대(6.9점)에 대한 친근감이 더 높았고, 30대 역시 20대(5.2점)보다는 40대(6.5점)에 대한 친근감이 더 높았다.

본인과 조금이라도 더 가까운 연령대에 더 높은 친근감을 느낀다는 가정을 해 볼 수 있다. 그래서 응답자 연령대를 10세가 아닌, 5세 단위로 나눠서 비교해 보았다. 가정이 맞다면, 30대 초반은 40대보다는 20대와 좀 더 가깝기 때문에 20대에 대한 친근감이 40대에 대한 친근감보다 더 높아야 한다. 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각 나이의 초반대 연령인 사람들 역시 바로 아래 연령대보다는, 바로 위 연령대에 대한 친근감이 조금 더 높았다. 18-24세 응답자는 본인과 좀 더 가까운 10대(6.3점)보다는 30대(6.6점)에 대한 친근감아 더 높았고, 30-34세 응답자 역시 20대(5.7점)보다는 40대(6.3점)에 대한 친근감이 더 높았다.

20~40대, 바로 아래 연령대에게서 세대차이 느낀다 50% 이상
10대에게 세대차이 느낀다는 응답, 모든 연령대에서 최소 67% 이상

세대차이는 어떻게 느낄까? 바로 위 연령대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응답은 높지 않았다. 20대 중 30대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응답은 22%에 그쳤으며, 30대는 27%만이 40대에게서 세대 차이를 느낀다고 답했다. 60대 역시 7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응답은 21%에 머물렀다.

바로 아래 연령대에게선 세대차이를 느낄까? 우선, 50대와 60세 이상에서는 바로 아래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응답이 높지 않았다. 그러나 20대부터 40대까지는 달랐는데, 다수가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다. 40대의 50%가 30대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고, 30대 중에서는 71%가 20대에게서 세대차이를 느깐다고 답했다. 18-29세 응답자 중에서도 67%가 10대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다.

응답자 연령대를 10세가 아닌, 5세 단위로 나눠서 비교해 보아도 결과는 동일했다. 18-24세 응답자는 나이만 놓고 보면 30대보다는 10대와 오히려 가깝지만, 10대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응답이 51%로 30대에서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응답(27%)보다 높았다. 30대 초반 응답자 역시 마찬가지로, 40대(35%)보다는 20대(68%)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응답이 더 높았다.

한편, 전체 응답자의 87%가 10대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다. 40세 이상에서는 90% 이상이 10대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고, 18-29세 응답자 중에서도 3명 중 2명(67%)이 10대에게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다.

나이 차이에 따른 친근감과 세대차이

같은 나이 차이라도 나이가 어린 사람보다는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서 더 친근감 느껴

일반적인 10세 단위로 구분한 연령대가 아닌, 본인의 나이를 기준으로 나이가 많은 사람과 어린 사람에게 친근감을 느끼는지, 그리고 세대차이를 느끼는지 여부를 물어보았다. 나이차가 적게 나는 사람에게서 친근감을 크게 느끼는 가운데, 같은 나이 차이더라도 나이가 어린 사람보다는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서 더 큰 친근감을 느끼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신보다 5살 많은 사람에게서 느끼는 친근감은 7.2점으로, 5살 어린 사람에게서 느끼는 친근감(6.7점)보다 높았다. 10살 많은 사람에게서 느끼는 친근감(6.3점) 역시 10살 어린 사람에게서 느끼는 친근감(5.4점)보다 높았다. 앞서 연령대 별 친근감과 세대차이를 묻는 문항에서 본인의 바로 위 연령대보다는 바로 아래 연령대에서 친근감을 덜 느끼고, 세대차이를 더 느낀다는 응답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나보다 10살 어린 사람에게서 세대차이 느낀다 57%,
하지만 나보다 10살 많은 사람에게서 세대차이 느낀다 45%

5살 차이가 나는 사람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응답은 많지 않았다. 전체 응답자의 11%만이 5살 많은 사람에게서, 17%만이 5살 어린 사람에게서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다. 반면 10살 어린 사람에게서는 57%가, 20살 어린 사람에게서는 82%가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으며, 10살 많은 사람, 20살 많은 사람에게서도 각각 45%, 74%가 세대차이를 느낀다고 답했다.

앞서 친근감과 마찬가지로, 같은 나이 차이더라도 나이가 많은 사람보다는 나이가 어린 사람에게서 더 큰 세대차이를 느끼는 것이 확인되었다.

나와 같은 세대의 범위는?

위아래 6살 차이까지는 ‘나와 같은 세대’로 인식
2,30대는 하한선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아

‘나와 같은 세대’라고 생각하는 나이 차이는 몇 살일까? 위아래로 몇 살 까지를 나와 같은 세대라고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하한선의 평균은 5.7살, 상한선의 평균은 6.2살이었다. 즉, 평균적으로 봤을 때 본인보다 6살 어린 사람부터, 6살 많은 사람까지를 본인과 같은 세대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령대별로 나눠서 비교해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이 보인다. 상한선에 대해선 연령대별 차이가 거의 없이 6살 전후 수준으로 비슷하다. 그런데 2,30대는 하한선에서 40대 이상과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18-29세 응답자가 생각하는 ‘나와 같은 세대’의 하한선 나이는 평균 3.7살이다. 4살 아래까지만 본인과 같은 세대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상한선은 6.0살로 전체 평균과 크게 다르지 않다. 30대 역시 하한선 나이의 평균은 5.2살로 전체 평균인 5.7살보다 높다.

10대 후반부터 20대를 걸쳐, 30대 초중반까지는 고등학교 졸업, 미성년에서 성년으로 격상, 사회생활 시작, 결혼과 독립, 자녀양육 시작 등 생애주기에서 굵직굵직한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짧은 시간동안 체감하는 변화의 폭이 크고, 소속집단 및 역할의 변화 역시 크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로 이어지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각 연령대를 5세 단위로 나눠 보면, 초반대에 속하는 사람과 후반대에 속하는 사람의 응답에 차이가 나는 것이 눈에 띈다. 초반대에 속하는 응답자는 후반대에 속하는 응답자와 비교했을 때 같은 세대라고 인식하는 나이의 상한선도 높고, 하한선도 높다. 즉, 위로 나이차가 많이 나는 사람을, 반대로 아래로는 나이차가 적게 나는 사람을 자신과 같은 세대라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10세 단위로 세대를 구분하는 사고방식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1년 1월 기준 약 57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20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6,778명, 조사참여 1,340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4.8%, 참여대비 74.6%)
  • 조사일시: 2021년 2월 19일 ~ 2월 22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