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학2022-05-11T08:09:00+09:00

[기획] 사이버폭력 실태조사로 살펴본 청소년 사이버폭력 현황과 예방책

최근의 청소년 대상 폭력은 학교를 넘어 사이버 공간으로 확대됐다. 시공간을 초월해 발생하며, 가해 방식은 점점 교묘해지고 피해는 확대·재생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치명적이다. 2022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가해·피해 경험과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응 방안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3년 8월 22일|사회, 인터넷·SNS, 기술과학, 범죄·안전|

[기획] 생성형 인공지능 사용 경험 및 예술분야에서의 활용 전망

2023년 상반기를 뜨겁게 달군 단어 중 하나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이다. 챗GPT 뿐만 아니라 시, 그림, 동영상, 음악 등 예술작품을 만들어내는 다양한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사람들은 인공지능의 예술 분야 진출을 반기고 있을까? 생성형 인공지능 사용 경험과 예술 분야에서의 활용 전망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3년 6월 13일|인공지능, 문화, 기술과학, 문화일반|

[2023 인공지능 인식조사] 인공지능, 양날의 검? – 발전 체감도와 미래 변화 예측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 생활 속 다양한 곳에서 활용 중이고, 접목 가능한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인공지능의 발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체감 수준,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우리에게 줄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By |2023년 6월 6일|인공지능, 기술과학|

[2023 인공지능 인식조사] 주요 영역별 인공지능(AI) 발전 평가 및 직업 수행 전망

인공지능은 막대한 데이터를 이전보다 빠르게 학습하며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인간이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경고의 목소리마저도 들려온다. 그런데 논리적 연산이나 추론 외에 언어나 음악, 대인관계 관련 지능도 충분히 발달했을까? 인공지능이 인간의 모든 직업을 대체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 발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3년 5월 23일|사회, 인공지능, 기술과학, 노동|

[기획]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엇갈린 시선 – 높은 기대감과 불완전한 신뢰

정부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국내 일부 기업은 조건부 자율운전이 가능한 차량을 곧 선보일 예정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만, 정책 준비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국민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입법 과정에 적용해 충분한 공감을 얻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를 확인해 보았다.

By |2022년 10월 4일|교통, IT·정보통신, 산업·기업, 인공지능, 경제, 기술과학|

[기획] 대학교 반도체학과 설립 및 정원 확대에 대한 여론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7일 국무회의에서 “반도체는 국가 안보 자산이자 우리 산업의 핵심”이라고 강조한 이후,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정 및 학과 개설, 관련학과 정원 확대 등이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다. 우리 국민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By |2022년 6월 21일|사회, IT·정보통신, 산업·기업, 경제, 교육·시험, 기술과학|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