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연(필자)

전화: 02-3014-1062 이메일: lee.sy@hrc.co.kr

[질병관리청-한국리서치 특별기획]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수립 국민인식조사

최근 신종감염병 발생 주기는 짧아지고, 그 규모는 커지는 추세이다. 반면 감염병 위기 대응을 위한 기반 구축은 장시간 소요됨을 고려 시, 미래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전략의 신속한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질병관리청은 한국리서치와 함께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주요 방역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수용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고자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코로나19] 78차 인식조사(2023년 3월 2주차)

응답자 10명 중 7명이 코로나19 방역보다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코로나19 이전보다 외부활동을 '매우 자제'한다는 사람은 지난 해 5월 이후 감소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마스크 착용 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3월 2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지난 해 6월 이후, 내가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은 지난 해 7월 이후 가장 낮았다.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가 임박했으나, 10명 중 7명은 규제 변화와 관계없이 실내에서 계속 마스크를 착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 77차 인식조사(2023년 2월 4주차)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와 나의 가정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한 달 전 대비 증가했다. 조사 직전 2주 동안 '다중이용시설 방문'과 '지인과의 모임, 회식'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2020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백신접종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2월 4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6차 유행이 이어졌던 지난 해 8월의 1/3 수준으로 낮아졌다.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지난 해 11월 이후 감소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76차 인식조사(2023년 2월 2주차)

코로나19 일상 회복 시기가 앞당겨 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한 달 전 대비 상승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한 달 전 대비 소폭 상승했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마스크 착용 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2월 2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감소세를, '내가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은 낮다'은 인식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1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완화됐으나, 대다수는 병원, 대중교통 외 다른 실내 공간에서 계속 마스크를 착용한다고 답했다.

[2023 대중인식조사] 중국 이미지와 한중관계 전망

지난해 한국과 중국은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2017년 4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한중관계는 좋지 않은 상황이고, 중국에 대한 한국 국민의 호감도 또한 낮다. 중국에 대한 이미지, 한중관계 평가와 향후 전망 등을 확인해 보았다.

[코로나19] 75차 인식조사(2023년 1월 4주차)

재작년 및 작년 설과 비교했을 때, 타지역에 거주하는 가족이나 지인을 만났다는 응답이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은 1년 가까이 감소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백신접종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1월 4주차)

1월 초 이후 일일 확진자 수가 점진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코로나19 상황 및 감염 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차 이상 접종을 마친 사람 10명 중 4명 가량은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여전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