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과 야당, 부유층과 서민층,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크다고 인식

현재 우리나라의 갈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10개 집단별 갈등 정도를 4점 척도(아주 작다, 작은 편이다, 큰 편이다, 아주 크다)로 물어보았다. 그 결과 여당과 야당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91%로 가장 높았고, 부유층과 서민층(90%), 진보와 보수(89%), 정규직과 비정규직(83%), 기업가와 노동자(82%)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1년 전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영남과 호남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은 증가한 반면 기업가와 노동자, 기성세대와 젊은세대의갈등이 크다는 응답은 감소하였다.

※ 주요 집단별 갈등인식

※ 집단별 갈등인식 변화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년 4월 기준 약 49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19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5,631명, 조사참여 1,572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7.8%, 참여대비 63.6%)
  • 조사일시: 2020년 4월 24일 ~ 4월 27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