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대중인식조사] 중국 이미지와 한중관계 전망
지난해 한국과 중국은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2017년 4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한중관계는 좋지 않은 상황이고, 중국에 대한 한국 국민의 호감도 또한 낮다. 중국에 대한 이미지, 한중관계 평가와 향후 전망 등을 확인해 보았다.
[2022 대미인식조사] 미국 이미지와 한미관계인식
한국과 미국은 오랜 시간 국방과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력관계를 맺고 교류를 유지하고 있다. 한미수교 140주년을 맞아, 한미관계 및 미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를 확인해 보았다.
[기획]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평가, 그리고 국가자부심과 반중정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관심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관심 많았다 39% 여자, 18-29세 관심도가 다소 높은 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지난 2월 20일 막을 내렸다. 개막 전부터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 책임, 신장 위구르자치구 지역에서의 인권 탄압 등의 이유로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가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였고, 동계올림픽 과정에서는 [...]
[기획] 난민 수용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미얀마와 아프가니스탄 난민 수용에 대한 인식 비교에 대한 보고서는 "[기획] 미얀마와 아프간 난민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인식 분석(https://hrcopinion.co.kr/archives/19628)" 을 참고해 주세요. 작년 2월 발생한 미얀마군의 쿠데타 이후, 많은 미얀마 시민들이 인접국인 태국과 인도, 그리고 우리나라 등으로 난민 신청을 하였다. 그리고 지난 8월에는 이슬람 원리주의자인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
[기획] 미얀마와 아프간 난민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인식 분석
선호하는 난민 지원 형태, 난민 수용 우선순위, 이민정책에 대한 입장 등은 "[기획] 난민 수용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보고서를 참고해 주세요. https://hrcopinion.co.kr/archives/20000 작년 2월 미얀마에서 발생한 군의 쿠데타에 항거하여, 미얀마 시민들은 민주주의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다 유혈사태가 확산되자 많은 미얀마 시민들이 인접국인 태국과 인도로 피신하여 난민 신청을 하였고, [...]
[기획] 일본 제품 불매운동, 현재 상황은?
일본 제품 불매운동 현황 일본 제품 불매운동 참여하고 있다 57%, 1년 전 대비 15%포인트 감소 이번 조사에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57%로 조사되었다. 1년여 전인 작년 7월 초 조사결과(https://hrcopinion.co.kr/archives/16215)와 비교했을 때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이 15%포인트 하락하였다. 2019년 첫 조사 이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