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근로환경과 근로자의 생활 여건 개선 차원에서 ‘주4일 근무제’가 화두에 올랐다. 2020년,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의 연평균 실근로시간은 1,908시간으로 전 세계 3위에 올랐다. OECD 평균인 1,687시간과 약 220시간 정도 차이가 나는 수준이다(통계청, ‘근로자당 연평균 실제 근로시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314_OECD). 덴마크와 스웨덴 등 일부 유럽에서는 주4일 근무제를 법제화하거나 시범 운영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팀은 주4일 근무제 시행에 대한 입장과 해당 제도가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았다. 특히 연령과 직장 지위에 따른 차이를 살펴 개인이 마주한 환경에 따라 제도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음을 파악했다. 본 조사는 2021년 10월 15일부터 18일까지 3일 동안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주요 내용
- 전체 응답자의 절반이 주4일 근무제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했으나, 자영업자에서는 반대 의견이 더 높았다.
- 응답자 3명 중 2명은 임금이 감소한다면, 주4일 근무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주4일 근무제 도입에 찬성하는 응답자 중에서도 44%는 임금 감소 시 주4일 근무 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 주4일 근무제가 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높았다. 임금근로자 중에서는 60% 이상이 영향이 크다고 답한 반면, 자영업자는 절반 이하만이 본인의 삶에 영향이 크다고 답했다.
- 휴일이 하루 늘어날 경우, 수요일이나 금요일에 쉬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월요일이 뒤를 이었다.
- 하루 늘어난 휴일에 하고 싶은 것으로는 건강관리와 취미생활, 여행 순이었다. 20대는 특별히 하는 일 없이 휴식을 하고 싶다는 응답, 친구 및 지인과의 모임을 갖겠다는 응답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여행을 가고 싶다는 응답은 50대와 60세 이상에서 높았고, 30대는 자기계발을 할 것이라는 응답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주4일 근무제 찬반 의견
주4일 근무제 찬성 51%, 반대 41%
20·30대와 임금근로자에서는 찬성 의견이, 60세 이상과 자영업자에서는 반대 의견이 우세
주4일 근무제 도입 의견을 물은 결과, 2명 중 1명(51%)은 주4일 근무제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 입장은 찬성 응답보다 10%포인트 낮은 41%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도입을 찬성한다는 응답이 높았고, 특히 20대(73%)와 30대(70%)에서 찬성 응답이 70%를 넘어섰다. 직장지위 별로 살펴보면, 임금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찬성한다고 답했고 (정규직 67%, 비정규직 51%), 자영업자는 반대한다는 응답(61%)이 높았다.
임금이 감소한다면, 주4일 근무를 하지 않을 것이다 64%
주4일 근무제 도입 찬성 응답자 중에서도 44%는 임금 감소 시 주4일 근무 하지 않겠다 답해
주4일제 근무를 도입할 경우, 근무시간이 줄어드는 대신 임금(월급)도 줄어들 수 있다. 임금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더라도, 주 4일 근무를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64%가 임금이 감소한다면 주4일 근무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임금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고서라도 주4일 근무를 하겠다는 응답은 29%에 그쳤다(모르겠다 7%). 주4일 근무제 도입 찬성 응답이 51%임을 감안했을 때, 주4일 근무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임금 유지가 필수적인 조건이 되는 셈이다.
전 연령대에서 임금 감소 시 주4일 근무를 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다만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임금이 줄더라도 주4일 근무를 할 것이라는 응답이 높아졌다(20대 41%, 30대 38%, 60세 이상 21%). 정규직 임금근로자 중에서도 61%가, 비정규직 임금근로자 중에서도 69%가 임금이 감소한다면 주4일 근무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주4일 근무제 도입에 찬성하는 응답자 중에서는 임금 감소를 감수하고서라도 주4일 근무를 하겠다는 응답이 49%, 임금 감소 시 주4일 근무를 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44%로 의견이 나뉘었다. 주4일 근무제 도입에 반대하는 응답자는 88%가 임금 감소 시 주4일 근무를 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주4일 근무제 도입의 영향
주4일 근무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61%
현재 우리나라는 주5일 근무와 함께 주 52시간 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다. 주4일 근무제를 법제화한다면, 법적 허용 근무시간이 축소됨에 따라 삶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것인지 물었다. 10명 중 6명(61%)은 주4일 근무제 도입이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답했고 영향이 작을 것이라는 응답은 30%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주4일 근무제 도입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응답도 높았다. 정규직, 비정규직 임금근로자도 60%가 넘는 비율로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답했다. 자영업자의 43%는 영향이 작다고 응답했는데 제도 도입이 업장 운영 일수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제라는 인식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보인다.
휴일이 하루 늘어난다면 수요일(32%), 금요일(32%)에 쉬고 싶다는 응답 높아
주4일 근무제를 도입한다면, 어떤 요일을 휴일로 간주하고 싶은지 물었다. 수요일과 금요일이 각각 32%로 가장 높았고, 월요일이 26%로 뒤를 이었다. 1주일의 중간인 수요일에 하루를 쉬며 재충전을 하거나, 주말과 붙여 휴식을 취함으로써 더욱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화요일(1%)이나 목요일(3%)을 꼽은 응답은 소수에 그쳤다.
휴일에 하고 싶은 것, 건강관리와 취미생활, 여행 순
연령 별로 휴일에 선호하는 활동에 차이가 있어
주4일 근무제 도입으로 하루를 더 쉬게 되면, 운동 등 건강관리(37%), 취미생활(36%), 여행(32%)을 하겠다는 응답이 높았고 자기계발(27%), 문화생활(23%), 특별히 하는 일 없이 휴식(23%)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선호하는 활동에 차이를 보였는데 20대는 특별히 하는 일 없이 휴식을 하고 싶다는 응답이 39%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고, 친구 및 지인과의 모임을 갖겠다는 응답(23%)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여행을 가고 싶다는 응답은 50대(37%)와 60세 이상(39%)에서 높았고, 30대는 자기계발을 할 것이라는 응답이 37%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돈을 많이 버는 것 vs 워라밸
개인시간 및 워라밸이 더 중요하다 51%, 돈을 많이 버는 것이 더 중요하다 49%
이번 조사에서 개인시간 및 워라밸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이 51%, 돈을 많이 버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은 49%로 큰 차이가 없었다. 20대와 30대, 그리고 60세 이상에서는 개인시간 및 워라밸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이 더 높았고, 40대와 50대는 돈을 많이 버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진보층에서는 개인시간 및 워라밸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이 58%로 더 높은 반면, 보수층에서는 돈을 많이 버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이 55%로 더 높았다.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1년 9월 기준 약 64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21년 9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13,086명, 조사참여 1,263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7.6%, 참여대비 79.2%)
- 조사일시: 2021년 10월 15일 ~ 10월 18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 [2023 범죄인식조사] 우리 사회는 범죄로부터 안전한가? - 2023-09-13
- [2023 범죄인식조사] 위험인식평가, 범죄로부터 안전한 성별 - 2023-09-05
- [기획] 나는 입양에 긍정적, 우리 사회는? – 입양에 대한 인식 -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