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인식조사 - 총 8개의 글

결혼, 해야 할까?

결혼을 해야 한다 45%,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47%

전체 응답자의 45%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반드시 해야 한다 9%, 하는 편이 좋다 36%). 반면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답한 응답자는 47%였다. 결혼을 해야 한다는 입장과, 개인의 선택이라는 입장이 엇비슷하였다.

성별과 세대별로 인식의 차이가 매우 컸다. 남자는 57%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는데, 30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결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최소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반면 여자는 33%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고, 특히 20대 여성 중에서는 11%, 30대 여성 중에서는 19%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하다? 43%만 동의

‘일반적으로,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하다’는 진술에 43%만이 동의하였다. 44%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13%는 의견을 유보하였다.

이번에도 성별과 세대별로 인식의 차이가 매우 컸다. 남자는 53%가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하다’는 데에 동의했고, 34%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여자는 정 반대였다. 32%만이 동의하였고, 54%는 동의하지 않았다. 특히 20대 여성은 11%, 30대 여성은 16%만이 동의한다고 답했다.

60세 이상에서는 62%가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하다’고 답한 반면, 20대에서는 51%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기혼자는 51%가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하다’고 답해, 반대 의견보다 12%포인트 높았다.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결혼을 해야 한다? 62%가 동의
60세 이상은 84%가, 20대는 43%가 동의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결혼을 해야 한다’는 진술에는 62%가 동의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31%)보다 높았다. 하지만 연령대가 낮을수록 동의한다는 비율이 낮아졌는데, 20대는 43%만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결혼을 해야 한다’ 고 답해 그렇지 않다는 응답(45%)과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자(72%)보다는 여자(53%)가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낮았고, 특히 20대 여성은 24%, 30대 여성은 35%만이 동의한다고 답했다.

결혼한다면, 적절한 나이는?

남자는 평균 32.5세, 여자는 평균 30.2세

결혼한다면 몇 살에 하는 것이 좋을지 남, 녀를 구분해 물어보았다. 응답자들이 답한 나이를 평균한 남자의 결혼 적령기는 32.5세, 여자는 평균 30.2세였는데,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0년의 평균 초혼연령(남자 33.2세, 여자 30.8세)보다 남자는 0.7세, 여자는 0.6세 어린 나이다.

남자의 결혼 적령기로 30대 초반(30-33세)을 꼽은 응답이 53%로 과반을 넘었고, 30대 중반(34-36세)이라는 응답이 28%로 뒤를 이었다. 여자의 결혼 적령기 역시 30대 초반을 꼽은 응답이 47%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20대 후반(27-29세)이라는 응답이 28%로 뒤를 이었다.

결혼 한 계기, 결혼하지 않은 이유

결혼을 결정한 계기, 어느 정도 나이가 되었기 때문에 56%
2·30대는 연인을 신뢰하고 관계를 안정시키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더 높아

결혼 경험이 있는 응답자에게, 결혼을 한 이유를 물었다. ‘어느 정도 나이가 되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6%로 가장 많은 가운데 2·30대에서는 ‘애인·동거상대를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53%)’, ‘애인·동거상대와의 관계를 안정시키고 싶었기 때문(48%)’ 이라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어느 정도의 나이가 되었기 때문’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 밖에,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부모와 가족의 권유로‘, ’주변 사람들이 결혼했기 때문에‘ 등 주변 환경 요인을 꼽은 응답이 많았다.

나이와 주변 분위기 때문에  결혼을 하던 분위기에서 연인과의 주체적인 관계 진전을 위해 결혼을 결심하는 분위기로 시대가  변한 것인지, 아니면 결혼을 한 시점이 오래 지나 평가가 달라진 것인지는 추후 추가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결혼을 하지 않은 이유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56%,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47%

미혼 응답자에게 결혼을 하지 이유를 물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기 때문에(56%)’, ‘결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47%)’, ‘적당한 상대를 아직 만나지 못했기 때문에(45%)’가 주된 이유로 꼽힌 가운데, 20대에서는 ‘아직 젋기 때문에(42%)’, 40세 이상에서는 ‘독신의 자유와 홀가분함을 잃고 싶지 않아서(43%)’를 꼽은 응답도 많았다.

미혼 남녀의 향후 결혼 의향, 있다 48%, 없다 35%
미혼 여성 중에서는 32%만이 ‘향후 결혼 의향 있다’

미혼 응답자 중에서는 48%가 향후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한 반면, 35%는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잘 모르겠다 18%).

결혼 의향은 성별과 세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미혼 남성 중에서는 61%가 향후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한 반면, 미혼 여성 중에서는 32%만이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20대 미혼 응답자 중에서는 56%가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결혼 의향은 낮아졌다(30대 45%, 40세 이상 28%)

이혼 혹은 사별 상태인 응답자 중 재혼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20%에 머물렀다. 59세 이하 응답자 중에서도 17%만이 향후 재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결혼 과정과 결혼 이후 자녀계획

혼인신고, 양가 상견례, 결혼식, 신혼여행 필요하다는 응답 75% 이상
예물·예단 주고받기와 약혼식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10% 이하

결혼 과정에서 혼인신고(반드시+대체로 필요하다 89%), 양가 상견례(79%), 결혼식(77%), 신혼여행(75%)은 필요하다는 응답이 75%를 넘었다. 반면 예물·예단 주고받기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9%, 약혼식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7%로 한자리수에 머물렀다.

결혼은 양측 가족의 의견보다 당사자들의 의견이 더 중요하다 81%

‘결혼은 당사자들의 의견이 양측 가족의 의견보다 더 중요하다’는 데 81%가 동의하였다. 특이한 점은, 결혼의 당사자일 가능성이 높은 2,30대에서 동의한다는 응답이 전체 평균보다 더 낮았다는 점이다. 20대에서는 65%가, 30대에서는 74%가 ‘결혼은 당사자들의 의견이 양측 가족의 의견보다 중요하다’ 고 답해,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결혼한다면 아이를 가져야 한다 54%

‘결혼한다면 아이를 가져야 한다’ 는 진술에는 54%가 동의하였다. 이 역시 성별과 세대별로 공감 정도가 크게 달랐다. 60세 이상에서는 ‘결혼한다면 아이를 가져야 한다’는 데 82%가 동의한 반면, 20대에서는 24%만이 이에 동의하였다. 또한 남자(61%)보다는 여자(47%)의 공감 비율이 낮았고, 특히 20대 여성 중에서는 9%만이 ‘결혼한다면 아이를 가져야 한다’는 데 동의하였다.

혼전동거에 대한 인식

결혼을 전제한다면 혼전동거 해도 괜찮다 51%
20대는 50%가 ‘결혼을 전제하지 않았더라도 할 수 있다’

결혼 전 동거에 대해 응답자의 51%가 ‘결혼을 전제한다면 해도 괜찮다’ 고 답했다. 32%는 ‘결혼을 전제하지 않았더라도 할 수 있는 일’이라는 의견이었고, 17%만이 ‘결혼을 전제했어도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답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결혼을 전제하지 않더라도 동거는 할 수 있는 일이다’ 는 의견이 높았다. 20대는 50%가, 30대는 45%가 결혼을 전제하지 않은 동거가 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1년 4월 기준 약 57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21년 3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6,456명, 조사참여 1,273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5.5%, 참여대비 78.6%)
  • 조사일시: 2021년 5월 21일 ~ 5월 24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