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성소수자인식조사] 성소수자의 직업, 어디까지 받아들일 수 있나?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은 점점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보육·교육·종교 관련 직업 종사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또한, 트랜스젠더가 성전환수술 후 전환한 성별의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허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지만, 전환한 성별의 스포츠 종목에 출전하는 것은 ‘허용할 수 없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2023 인공지능 인식조사] 주요 영역별 인공지능(AI) 발전 평가 및 직업 수행 전망

인공지능은 막대한 데이터를 이전보다 빠르게 학습하며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인간이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경고의 목소리마저도 들려온다. 그런데 논리적 연산이나 추론 외에 언어나 음악, 대인관계 관련 지능도 충분히 발달했을까? 인공지능이 인간의 모든 직업을 대체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 발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기획] 직장 내 세대차이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직장 내 세대차이는 직장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의 주요 고충 중 하나이다. 한 팀으로 구성되어 같이 일을 하지만, ‘요즘 것들’과 ‘꼰대’로 구분되어 서로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런데 세대 간 직장에 대한 인식 및 태도는 정말 차이가 있을까?

[기획] 노동조합과 파업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인식

한국 사회에서 노동조합과 파업에 대해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노동조합과 파업을 바라보는 시선은 단순히 ‘긍정적’ 또는 ‘부정적’ 둘 중 하나의 단어로 충분히 설명될 수 있을까? 노동조합과 파업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기획] 국민들은 주4일 근무제 도입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근로환경과 근로자의 생활 여건 개선 차원에서 ‘주4일 근무제’가 화두에 올랐다. 2020년,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의 연평균 실근로시간은 1,908시간으로 전 세계 3위에 올랐다. OECD 평균인 1,687시간과 약 220시간 정도 차이가 나는 수준이다. 덴마크와 스웨덴 등 일부 유럽에서는 주4일 근무제를 법제화하거나 시범 운영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한국리서치 팀은 주4일 근무제 시행에 대한 입장과 해당 제도가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았다. 특히 연령과 직장 지위에 따른 차이를 살펴 개인이 마주한 환경에 따라 제도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음을 파악했다. 본 조사는 2021년 10월 15일부터 18일까지 3일 동안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기획] 택배 산업, 성장통 이겨낼 수 있을까?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택배 산업은 가파르게 성장했다. 한국통합물류협회가 지난 2월 1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총 택배 물량은 33억 7373만 개로 2019년(27억 8980만 개) 대비 20.9% 늘었다. 2020년 국민 1인당 택배 이용횟수는 65.1회로 2019년보다 11.3회 상승했다. 양적 성장에 비해, 택배 산업 종사자의 근로환경과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은 더딘 걸음을 하고 있다. 지난 6월 9일, 전국택배노조는 택배사들이 [...]

[기획]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 변화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제도적 지원 필요성 남성 육아휴직 증가, 인식의 변화로도 확인 남성이 여성과 동일하게 육아휴직 쓰는 것, 시기상조 아니다 61% 아빠가 휴직을 하면서까지 육아를 할 필요 없다, 그렇지 않다 72% 지난 2월 1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적인 육아휴직자 수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남성 육아휴직자의 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

[기획] 조기은퇴와 직장인의 부수입 창출 활동에 관한 조사

직장인들은 누구나 사직서를 품고 회사를 다닌다고 한다. 최근 경제적 자유를 찾고 은퇴를 일찍 하려는 파이어족(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의 등장도 눈여겨 볼만한 사회적 현상 중 하나이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연구팀은 조기은퇴를 하고 싶은 직장인은 부수입 창출 활동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2021년 5월 7일~5월 10일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부수입 창출과 조기은퇴에 대한 인식과 행태 그리고 경제적 [...]

[기획] 인공지능(AI)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직업별 역할 수행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2016년 세계 경제 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처음 나와 정보사회로 나아가는 새로운 물결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를 생산 및 공유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초연결 기술기반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시점이다. 제4차 산업혁명에서 주목하고 있는 기술 중 하나가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이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적능력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과학기술로써 ➀상황인지, ➁이성적·논리적인 [...]

[코로나19] 코로나19로 앞당겨진 유연근무, 현실과 미래

※ 편집자 주 본 보고서는 9월 11일 ~ 9월 14일 실시한 조사의 결과입니다. 코로나19 국내상황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여론의 변동폭도 큰 상황입니다. 조사 시점을 감안해 결과를 해석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 속의 여론’ 팀은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지속적으로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년, 전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