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별 갈등인식 – 2022년] 주요 집단 간 갈등, 1년 사이 더 심각해졌다는 인식 증가
10개 주요 집단 간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모두 50%를 넘었다. 대부분의 집단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1년 전 대비 증가하였고, 특히 대선을 거치면서 이념 갈등, 영호남 갈등이 심화되었다는 의견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10개 주요 집단 간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모두 50%를 넘었다. 대부분의 집단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1년 전 대비 증가하였고, 특히 대선을 거치면서 이념 갈등, 영호남 갈등이 심화되었다는 의견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젠더갈등 인식 우리 사회 젠더갈등 심각하다 71%, 작년 조사 대비 8%포인트 증가 매체에서 젠더 관련 이슈가 나올 때마다 댓글창의 열기는 식을 줄 모른다. 모든 사람의 생각이 같을 수는 없지만, 온라인 상에서 성별 간 대립 구도를 띠고 서로를 헐뜯거나 혐오표현을 일삼는 모습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작년(‘우리 사회 젠더 문제의 진단과 해결노력’, [...]
세대갈등 인식 우리 사회의 세대갈등 심각하다 81%, 1년 전 대비 4%포인트 감소 앞으로 우리 사회 세대갈등 심각해 질 것이다 43% 1년 전과 비슷 이번 조사에서,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81%였다(매우 심각하다 20%, 심각한 편이다 61%).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우리 사회의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1년 전에 비하면 심각하다는 응답은 4%포인트 감소하였다. [...]
과거부터 주기적으로 이슈가 되어왔던 ‘여자도 군대에 가야한다’는 논쟁이 온라인상에서 다시 뜨겁다. 비단 온라인에서뿐만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남녀평등복무제’, ‘군 가산점 제도 재도입‘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남성 유권자의 마음을 잡기에 바쁘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팀은 지난 6월 4일 ~ 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군 징병제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징병제를 둘러싼 남녀 갈등의 이면에 무엇이 정말로 논의되어야 하는 [...]
부유층과 서민층, 진보와 보수, 여당과 야당 간 갈등이 크다고 인식 현재 우리나라의 갈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10개 집단별 갈등 정도를 4점 척도(아주 작다, 작은 편이다, 큰 편이다, 아주 크다)로 물어보았다. 그 결과 부유층과 서민층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91%로 가장 높았고, 진보와 보수(88%), 여당과 야당(88%), 정규직과 비정규직(87%), 기업가와 노동자(85%)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1년 전인 2020년 4월 [...]
우리 사회에는 지역, 세대, 정치성향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대립구도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젠더이슈는 우리와 긴밀한 관계에 있는 주제이자, 그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는 이슈이다. 우리 사회의 성차별 및 성별 갈등 심각성을 살펴봄으로써 문제해결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팀은 2021년 2월 5일 ~ 8일까지 남녀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
세대갈등 인식 세대갈등 심각하다 85% 앞으로 세대갈등 더 심각해질 것이다 44%, 비슷하게 유지될 것이다 46% 이번 조사에서,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85%였다(매우 심각하다 21%, 심각한 편이다 64%). 세대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모든 연령대에서 보편적으로 공유하고 있었는데, 모든 연령대에서 최소 78% 이상의 응답자가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세대갈등 극복 전망 역시 낙관적이지 않다. 앞으로 [...]
의대생 국시 응시 기회 부여에 대한 여론 의대생 국시 응시 기회 부여 반대 50%, 찬성 40% 의료정책 추진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은, 지난 9월 4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대한의사협회가 합의안을 구성하고 전공의와 전임의가 병원으로 속속 복귀하면서 일단락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의대생들이 합의안 구성 이후에도 동맹휴업을 지속하고, 의사 국가고시(국시)에 응시하지 않으면서 갈등이 이어지는 양상이다. 의대생들이 지난 9월 13일 ‘의사 [...]
정부-의료계 갈등에 대한 관심 정도 의료정책을 둘러싼 정부-의료계 갈등,‘관심 있다’ 77% 의사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 의료정책 추진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극에 달하였다. 정부의 정책 추진에 반발한 전공의(인턴 및 레지던트)들은 무기한 총파업(집단휴진)에 들어갔고, 대한의사협회도 ‘정부가 정책을 철회하지 않으면 9월 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간다’ 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업무개시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전공의 10명을 경찰에 고발하는 [...]
여당과 야당, 부유층과 서민층,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크다고 인식 현재 우리나라의 갈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10개 집단별 갈등 정도를 4점 척도(아주 작다, 작은 편이다, 큰 편이다, 아주 크다)로 물어보았다. 그 결과 여당과 야당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91%로 가장 높았고, 부유층과 서민층(90%), 진보와 보수(89%), 정규직과 비정규직(83%), 기업가와 노동자(82%)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1년 전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