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세대인식조사] 세대갈등 및 다른 세대에 대한 인식

10명 중 8명이 우리 사회의 세대갈등이 심각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고, 세대갈등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은 소수에 그쳤다. 다른 세대와 관계를 맺는 것을 어렵게 느끼는 사람이 2년 전보다 늘어난 반면, 다른 세대에게 느끼는 친근감은 2년 전보다 감소해 세대 간의 거리감이 커졌음이 확인되었다.

[기획] 반려인과 비(非)반려인의 공존 방안은? – 반려견 문제에 대한 인식 조사

2020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는 300만을 넘고, 전체 가구의 15%를 차지한다. 여건이 된다면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다는 사람의 수도 적지 않아, 반려동물을 둘러싼 갈등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려견 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반려인과 비(非)반려인의 공존 방안을 살펴보았다.

[기획] 노동조합과 파업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인식

한국 사회에서 노동조합과 파업에 대해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노동조합과 파업을 바라보는 시선은 단순히 ‘긍정적’ 또는 ‘부정적’ 둘 중 하나의 단어로 충분히 설명될 수 있을까? 노동조합과 파업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기획] 대중문화예술인 대체복무 허용, 여론은?

방탄소년단(BTS)의 군 입대를 둘러싼 논란은 BTS 멤버들이 병역 의무를 이행하기로 결정하면서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가수와 배우 등 대중문화예술인의 병역 문제는 계속해서 주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들에게 대체복무의 길을 열어주든 아니든, 명확한 기준을 정해야 하는 시점이 되었다. 대중문화예술인의 대체복무에 대한 여론을 확인해 보았다.

[기획] 기피시설 설치에 대한 인식

쓰레기소각장, 공장, 유기동물 보호센터 등의 기피시설은 공공의 이익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필요하지만, 설치 과정과 그 이후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기피시설이 필요하지만, 우리 동네에 세워지는 건 반대하는 이중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은 얼마나 될까?

[기획] 퀴어 축제와 퀴어 콘텐츠에 대한 인식

서울퀴어문화축제(SQCF)가 오는 7월 15일부터 7월 31일까지 개최된다. 퀴어 축제 개최에 관해 매년 축제를 찬성하는 집단과 반대 하는 집단 간의 의견 대립이 존재했다. 서울퀴어문화축제를 앞두고, 퀴어축제 개최 및 운영 방식에 대한 여론을 확인해 보았다.

[기획] 장애인 이동권 시위에 대한 인식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주장하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시위가 진행되고 있다. 아침 출근 시간대, 지하철에 탑승하는 시위를 두고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전장연이 주장하는 장애인 이동권 보장, 그리고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시위 방식에 대한 여론을 확인해 보았다.

[집단별 갈등인식 – 2022년] 주요 집단 간 갈등, 1년 사이 더 심각해졌다는 인식 증가

10개 주요 집단 간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모두 50%를 넘었다. 대부분의 집단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1년 전 대비 증가하였고, 특히 대선을 거치면서 이념 갈등, 영호남 갈등이 심화되었다는 의견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22 젠더인식조사] 젠더갈등과 성차별 인식

젠더갈등 인식 우리 사회 젠더갈등 심각하다 71%, 작년 조사 대비 8%포인트 증가 매체에서 젠더 관련 이슈가 나올 때마다 댓글창의 열기는 식을 줄 모른다. 모든 사람의 생각이 같을 수는 없지만, 온라인 상에서 성별 간 대립 구도를 띠고 서로를 헐뜯거나 혐오표현을 일삼는 모습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작년(‘우리 사회 젠더 문제의 진단과 해결노력’, [...]

[2022 세대인식조사] 세대 갈등 인식과 전망

세대갈등 인식 우리 사회의 세대갈등 심각하다 81%, 1년 전 대비 4%포인트 감소 앞으로 우리 사회 세대갈등 심각해 질 것이다 43% 1년 전과 비슷 이번 조사에서,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81%였다(매우 심각하다 20%, 심각한 편이다 61%).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우리 사회의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1년 전에 비하면 심각하다는 응답은 4%포인트 감소하였다.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