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본 보고서는 2022년 2월 11일 ~ 2월 14일 실시한 조사의 결과입니다. 코로나19 국내상황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여론의 변동폭도 큰 상황입니다. 조사 시점을 감안해 결과를 해석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 속의 여론’ 팀은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지속적으로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같은 기간 조사한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예방접종 인식, 사적 대면 모임에 대한 결과는 “상황·백신 접종 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2월 2주차)(https://hrcopinion.co.kr/archives/20901)” 를, 방역 정책 전환에 대한 여론은 “오미크론 유행에 따른 방역정책 전환 여론 (https://hrcopinion.co.kr/archives/20895)”를 확인해 주세요.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경제 영향 심각 52%, 한 달 전 대비 4%포인트 하락
가정 경제 영향 심각 26%, 한 달 전 대비 1%포인트 상승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52%로, 1월 첫째 주 조사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 시점에 비해서는 50%대로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이 심각하다는 인식을 내비치고 있다.
코로나19가 나의 가정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은 26%로 한 달 전 대비 1%포인트 상승했다. 가정경제 심각성 인식은 작년 5월 3주차 조사를 시작으로 20%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 변화
타지역 거주 가족·지인 방문, 타지역 카페·맛집 방문, 자연 녹지 공간 방문 증가
지난 2주간 외부활동 경험 전반적으로 소폭 증가
이번 조사에서 직전 2주간 전반적인 외부활동 경험이 소폭 상승하였다. 설연휴 기간인 점을 감안했을 때, 타지역 거주 가족·지인 방문이 42%로 가장 높았다(27%→42%). 다음으로 타지역 카페·맛집 방문(25%→29%), 자연 녹지공간 방문(41%→45%), 직장·영업장 출근(87%→90%) 했다는 응답도 한 달 전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주말까지 포함하면 5일 연속 연휴가 이어지면서 타지역에서의 외부 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동네 카페·음식점 방문은 4%포인트 하락했다(70%→66%).
직전 2주간 “활동 경험 있음” 응답
코로나19로 인한 피로감
최근 2주 동안 코로나19로 인해 느낀 감정
지긋지긋함(83%) > 스트레스(75%) > 고립감(62%), 우울함(62%)
4가지 감성상태를 제시하고, 최근 2주 동안 코로나19로 인해 각각의 감정을 얼마나 느꼈는지 물었다. 한 달 전 대비 4가지 감정을 느꼈다는 응답이 소폭 상승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지긋지긋함(83%)’을 느꼈고, ‘스트레스(75%)’를 받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고립감(62%)과 우울함(62%) 순이었다.
특히 여성과 30~40대 응답자, 주관적 계층인식의 하층 집단이 코로나19로 인해 각각의 불안한 감정들을 느꼈다고 답했다. 사회 활동이 활발하고, 사회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집단의 ‘코로나 블루(blue)’가 상승하고 있어 심리적 불안 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1년 12월 기준 약 73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21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7,461명, 조사참여 1,260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3.4%, 참여대비 79.4%)
- 조사일시: 2022년 2월 11일 ~ 2월 14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 [2023 범죄인식조사] 우리 사회는 범죄로부터 안전한가? - 2023-09-13
- [2023 범죄인식조사] 위험인식평가, 범죄로부터 안전한 성별 - 2023-09-05
- [기획] 나는 입양에 긍정적, 우리 사회는? – 입양에 대한 인식 -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