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본 보고서는 2022년 3월 25일 ~ 3월 28일 실시한 조사의 결과입니다. 코로나19 국내상황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여론의 변동폭도 큰 상황입니다. 조사 시점을 감안해 결과를 해석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 속의 여론’ 팀은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지속적으로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같은 기간 조사한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정부대응에 대한 결과는 “[코로나19] 상황·백신 접종 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3월 4주차)(https://hrcopinion.co.kr/archives/21363)”  를  확인해 주세요.

일상 회복 시기 예상

‘코로나19 이전 일상 회복은 올해 가능’ 30%, ‘내년(2023년)에 가능’ 32%

이번 조사에서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적인 삶으로 언제쯤 돌아갈 수 있을지 물었다. 조사 결과, ‘내년(2023년)’에 일상회복이 가능하다는 응답이 32%로, 올해 하반기(7월~12월)(25%)를 7%포인트 차로 앞섰다.

10명 중 6명(62%)은 올해(30%, 상반기 5%+하반기 25%)나 내년(32%), 가까운 시일 내 일상 회복을 기대하고 있었다.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회복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은 4%포인트 감소한 18%였다.

코로나19 방역 vs 경제회복·활성화

코로나19 방역 우선 48%, 경제회복·활성화 우선 47%

이번 조사에서도 ‘코로나19 방역이 우선(48%)’이라는 응답과 ‘경제회복·활성화가 우선(47%)’이라는 응답은 1%포인트 차로 거의 비슷했다. 조사가 진행된 3월 넷째 주에는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30만 명을 웃도는 상황이었으나, 한 달 전 조사와 유사한 수치였다(2월 4주차: 방역 우선 48%, 경제회복·활성화 48%).

그렇다면, 현재 정부가 우선하고 있는 것은?
방역인 것 같다 44%, 경제회복·활성화인 것 같다 44%

이번 조사에서 ‘방역을 우선해야 한다(48%)’는 응답과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해야 한다(47%)’는 응답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렇다면 실제로 정부가 우선시 하는 것은 무엇인지 물은 결과, ‘정부가 방역을 우선하는 것 같다’는 응답이 44%(훨씬 더 우선 14%, 좀 더 우선 30%), ‘경제를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44%(훨씬 우선 9%, 좀 더 우선 35%)로 동일했다. 지난 조사 대비 정부가 방역을 우선하고 있다는 응답이 14%포인트 하락해(58%→44%)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하는 것 같다는 응답도 44%로 지난 조사 대비 13%포인트 증가하면서 입장이 대등하게 갈렸다.

본인 의견과 정부의 대응 방향 평가가 일치하는 사람은 39%
50대를 제외한 전연령대에서 본인 의견과 정부 대응 방향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견 우세

정부의 대응 방향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실제 정부의 대응 방향 평가가 일치하는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39%였다. 방역을 우선해야 하고, 실제로 정부가 방역을 우선하는 것 같다(방역 우선해야 – 방역 우선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21%였다. 반대로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해야 하고, 정부도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하는 것 같다(경제 우선해야 – 경제 우선한다)는 응답이 19%였다.

반면 본인의 의견과 실제 정부 대응 방향 평가가 일치하지 않는 사람은 전체의 45%로, 일치한다는 응답보다 6%포인트 높았다. 본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본인의 의견과 정부의 대응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우세하게 나온 것이다.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방역을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정부가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한다(방역 우선해야 – 경제 우선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23%였다. 반대로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해야 하지만 정부가 방역을 우선한다(경제 우선해야 – 방역 우선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22%를 차지했다.

50대를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대에서 본인의 입장과 실제 정부 대응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잘 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응답자들도 방역 정책에 대해서는 과반에 가까운 47%가 자신의 입장과 실제 정부 대응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방역을 우선해야 하고, 실제로 정부가 방역을 우선하고 있다는 응답은 21%
경제를 우선해야 하지만, 정부가 방역을 우선하고 있다는 응답은 22%

이번 조사에서 방역과 경제회복·활성화에 대한 ‘본인 생각’과 ‘정부가 무엇을 중시하고 있는지’ 물었는데 이 둘 사이의 입장 차가 크지 않았다(방역 우선 48%-정부 방역 우선 44%, 경제회복·활성화 우선 47%-정부 경제회복·활성화 우선 44%). 오미크론이 빠르게 확산되고, 거리두기 방역 지침은 크게 완화되지 않는 상황에서 올해 초부터 경제회복·활성화 필요성 인식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방역 우선 일치율은 지난 조사 대비 9%포인트 감소한 21%이고, 지난 조사에 이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제 우선 일치율은 12월 4주차 조사 이후 점차 상승하여 지난 조사 대비 3%포인트 증가했다. 한 때 신규 확진자 수가 60만명에 이를 정도로 코로나19 확산이 정점에 이르렀으나, 방역당국은 방역패스를 폐지하고 영업시간과 사적모임 인원 수를 확대하는 등 일상회복의 방향으로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론도 방역을 계속 우선해야 한다는 입장과, 경제회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입장이 맞부딪치는 양상이다. 여기에 정부 방역정책에 대한 평가도 엇갈리고 있어, 여러 여론이 혼재된 상황이 되었다.

코로나19 관련 공적 주체 신뢰도

지방자치단체·국립중앙 의료원·공공보건 의료기관 신뢰도 소폭 상승
청와대, 보건복지부 소폭 하락

코로나19 관련 6개 주요 공적 주체의 신뢰도는 지난 2월 4주차 조사 대비 지방자치단체(40%→44%), 국립중앙 의료원(62%→67%)과 공공보건 의료기관(64%→70%)에서 4~6%포인트 증가했다. 청와대(46%→43%), 보건복지부(58%→56%)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2~3%포인트 감소했고 질병관리청은 63%로 동일했다.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 변화

외부활동을 자제했다는 응답, 한 달 전 조사 대비 소폭 증가

외부활동을 매우 자제했다는 응답은 대체로 한 달 전 대비 소폭 상승했다. ‘모임·회식 취소’에 매우 그렇다고 답한 응답이 52%로 지난 조사 대비 6%포인트 증가했다. 다음으로 ‘다중이용시설 출입(46%→51%)’, ‘외식 자제(44%→47%)’, ‘외출 자제(45%→46%)’ 순으로 매우 자제했다고 답했다.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2년 2월 기준 약 75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21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6,102명, 조사참여 1,327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6.4%, 참여대비 75.4%)
  • 조사일시: 2022년 3월 25일 ~ 3월 28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