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본 보고서는 2021년 1월 22일 ~ 1월 25일 실시한 조사의 결과입니다. 코로나19 국내상황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여론의 변동폭도 큰 상황입니다. 조사 시점을 감안해 결과를 해석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 속의 여론’ 팀은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지속적으로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방역 전략
차단 중심 전략으로 가야 한다 59%, 완화 전략으로 가야 한다 41%
코로나19 방역 전략에 대한 인식은 12월 넷째 주 조사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차단 중심 전략 58%→59%, 완화 전략 42%→41%). 신규 확진자 수가 300명 대까지 감소한 상황이지만 확진자 조기발견과 접촉자 격리 등 적극적인 차단 전략을 선호하는 응답이 여전히 과반을 넘어, 적극적인 방역에 대한 요구가 우세하다.
백신 예방접종을 한다는 응답자는 차단 중심 전략으로 가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고(63%),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완화 전략으로 가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49%). 백신 예방접종을 한다는 응답자의 경우 지금과 같이 강도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와 차단 중심 전략을 통해 신규 확진자 수 증가를 막고자 하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경제 영향 심각 69%, 3주 전 대비 2%포인트 하락
가정 경제 영향 심각 32%, 3주 전 대비 6%포인트 하락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69%로, 3주 전 대비 2%포인트 하락하였다. 신규 확진자 수가 감소하면서 3차 대유행이 지나간 듯 보이나, 우리나라 경제 심각성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코로나19가 나의 가정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은 3주 전 대비 6%포인트 감소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가정경제에 영향을 준다(심각+어느정도)는 응답은 82%로, 지난 조사 대비 2%포인트 하락하였으나 지난 해 3월 넷째 주를 시작으로 80%대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코로나19가 우리나라·가정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높았고(각각 33%, 55%), 정부가 대응을 못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높았다(각각 77%, 44%). 정부 대응 평가에 부정적인 응답자일수록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와 가정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식한다.
주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마스크 착용 행태
술집에서 마스크를 착용했다는 응답 71%
카페(93%), 식당(91%), 업무공간(89%)에 비해 현저히 낮아
카페, 식당, 업무공간에서 마스크를 착용했다는 응답은 첫 조사를 시작한 8월 넷째 주 이후 꾸준히 80%를 넘어 대다수 방문자가 마스크를 잘 착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카페와 식당, 업무공간에서 마스크를 항상 착용했다는 응답은 2주 전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카페 60%→65%, 식당 56%→60%, 업무공간 63%→64%). 술집에서 항상 마스크를 착용했다는 응답은 지난 조사에 비해 2%포인트 증가했으나(항상 착용 31%→33%) 술집에서의 마스크 착용률은 카페나 식당, 업무공간에 비해 현저히 낮은 상황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의향
코로나19 예방접종 하겠다 67%
방역당국은 2월부터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시작해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백신 예방접종을 한다는 응답은 67%로 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20%)보다 높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예방접종을 한다는 응답이 높았고, 특히 50세 이상 응답자는 접종을 한다는 응답이 80%에 달했다(50대 77%, 60세 이상 78%).
다만, 예방접종을 한다는 응답이 7월 이후 하락세에 있어 방역당국의 설득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이 진행한 작년 7월 31일 ~ 8월 3일 조사 (https://hrcopinion.co.kr/archives/16145) 에서 예방접종을 한다는 응답이 87%였으나, 11월 27일 ~ 30일 조사(https://hrcopinion.co.kr/archives/17025)에서 83%, 이번 조사에서 67%를 기록해 7월 조사 이후 20%포인트 감소하였다.
예방접종을 망설이는 이유
예방접종 이상반응 혹은 부작용이 우려되어서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하지 않겠다고 답했거나, 혹은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자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가장 많은 응답을 받은 이유는 ‘예방접종 이상반응 또는 부작용 우려 때문(85%)’으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고위험군에게 양보해야할 것 같아서(26%)’, ‘건강하기 때문에(10%)’ 등이 뒤를 이었다. 백신 무료접종을 시행하게 되면서 접종 비용 발생으로 예방접종을 망설인다는 이유는 12월 넷째주 조사 대비 7%포인트 감소했다(접종 비용 발생 시 부담 14%→7%).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년 12월 기준 약 54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20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7,672명, 조사참여 1,301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3.0% 참여대비 76.9%)
- 조사일시: 2021년 1월 22일 ~ 1월 25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 [2023 범죄인식조사] 우리 사회는 범죄로부터 안전한가? - 2023-09-13
- [2023 범죄인식조사] 위험인식평가, 범죄로부터 안전한 성별 - 2023-09-05
- [기획] 나는 입양에 긍정적, 우리 사회는? – 입양에 대한 인식 -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