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안정 노력분야가 가장 높고, 공직자 인사분야가 가장 낮아
주요 6개 리더십 차원 평가 결과, 민생 안정 노력에 대한 긍정평가가 4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원칙과 소신(44%), 국가 위기상황 대처(42%), 국민 및 정치권과의 소통(34%), 갈등해소와 통합(34%), 공직자 인사(23%) 순이었다.1월 셋째 주 조사결과와 비교했을 때 공직자 인사를 잘한다는 응답은 7%포인트 하락해, 본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갈등을 줄이고 통합을 이루고자 노력한다는 응답 역시 6%포인트 하락하였다.
※ 차원별 대통령 리더십 평가
※ 각 리더십 차원별 긍정평가(최근 6개월)
※ 응답자 특성별 리더십평가(긍정응답)
※ 각 차원별 리더십 긍정평가 추이(최근 6회)
※ 각 리더십 차원별 긍정평가 추이(2019년 이후)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년 12월 기준 약 54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19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7,672명, 조사참여 1,301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3.0%, 참여대비 76.9%)
- 조사일시: 2021년 1월 22일 ~ 1월 25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이동한의 최근 글 (모두 보기)
- [경제안보지표 – 2023년 5월 4주차] 국가안보 인식지수, 한 달 전 대비 큰 폭 개선 - 2023-05-30
- [2023 인공지능 인식조사] 주요 영역별 인공지능(AI) 발전 평가 및 직업 수행 전망 - 2023-05-23
- [집단별 갈등인식 – 2023년] 이념갈등, 여전히 우리나라의 가장 큰 갈등 축 - 202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