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국가경제 및 안보에 대한 인식을 현재 상황 평가와 이후 전망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뒤, 평가와 전망의 순 긍정 응답비율을 산술평균하여 지수(-100과 100사이의 값)로 만들었으며, 이는 미국갤럽의 경제인식 인덱스(Gallup’s U.S. Economic Confidence Index)를 참고하였다.

가정경제 인식지수

가정경제 인식지수 -27, 지난 조사 대비 2포인트 감소

최근 응답자 본인 가정의 경제상황 평가와 앞으로의 경제상황 전망을 종합한 가정경제 인식지수는 -27포인트로, 지난 조사 대비 2포인트 감소하였다. 현재 가정경제 상황 평가는 한 달 전보다 5포인트 하락한 -38포인트로 지난해 12월(-39포인트)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미래 가정경제 전망은 -15포인트로 한 달 전 대비 2포인트 상승했다.

국가경제 인식지수

국가경제 인식지수 -58, 지난 조사 대비 5포인트 증가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상황 평가와 앞으로의 우리나라 경제상황 전망을 종합한 국가경제 인식지수는 -58포인트로, 지난 조사 대비 5포인트 증가하였다. 현재 국가경제 상황 평가는 한 달 전 대비 3포인트, 미래 국가경제 상황 전망은 한 달 전 대비 7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국가경제 인식지수는 윤석열대통령 취임 직후인 2022년 6월 1주차(-37포인트) 이후 2년째 -50포인트 이하에서 머물고 있다.

국가안보 인식지수

국가안보 인식지수 -39, 지난 조사 대비 8포인트 감소

최근 우리나라의 안보상황 평가와 앞으로의 우리나라 안보상황 전망을 종합한 국가안보 인식지수는 -39포인트로, 지난 조사 대비 8포인트 감소하였다. 이는 올해 1월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최근 발생한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와 이에 따른 우리 정부의 9.19 군사합의 전체 효력정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향후 국가안보 상황에 대한 전망(-34포인트)은 지난해 4월(-38포인트) 이후 최저치이다.

종합(최근 1년)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4년 4월 기준 약 92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24년 3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24,642명, 조사참여 1,329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4.1%, 참여대비 75.2%)
  • 조사일시: 2024년 5월 31일 ~ 6월 3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응답자 분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