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기관평가 - 총 5개의 글
- 1. [국가기관 업무수행 및 신뢰도 평가 – 2020년 1월] 청와대 업무수행 잘하고 있다 39% - 14895
- 2. [헌법기관 업무수행평가 – 2020년 8월] 국회의원 업무 잘 수행한다 10% - 16263
- 3. [헌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1년 3월] 국군 역할수행 긍정평가 41%, 법원 역할수행 긍정평가 19% - 17939
- 4. [헌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1년 9월] 국회가 자신의 역할 잘 수행하고 있다 4% - 19534
- 5. [헌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2년 3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할수행 긍정평가 큰 폭 하락 - 21429
정보·사정기관평가 - 총 5개의 글
- 1. [국가기관 업무수행 및 신뢰도 평가 – 2020년 1월] 청와대 업무수행 잘하고 있다 39% - 14895
- 2. [정보·사정기관 업무수행평가 – 2020년 8월] 검찰청 업무 잘 수행한다 21% - 16396
- 3. [정보·사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1년 4월] 검찰청, 경찰청 역할 못하고 있다 70%대 - 18038
- 4. [정보·사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1년 10월] 검찰청 역할수행 긍정평가 11%포인트 하락 - 19685
- 5. [정보·사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2년 4월] 해양경찰청 역할수행 긍정평가 11%포인트 상승 - 21669
업무수행 평가, 청와대와 군대가 가장 높고 국회가 가장 낮아
주요 국가기관의 업무수행에 대해 평가한 결과, 8개 주요 국가기관 모두 업무수행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이 과반을 넘지 못했다.
8개 주요 기관 중 청와대와 군대가 업무수행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이 39%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정부부처(37%), 검찰(28%), 지방자치단체(28%), 경찰(26%), 법원(18%), 국회(8%) 순이었다.
기관 신뢰도 평가, 군대가 가장 높고 국회가 가장 낮아
주요 국가기관의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업무수행평가와 마찬가지로 8개 주요 국가기관 모두 신뢰한다는 응답이 과반을 넘지 못했다.
8개 주요 기관 중 신뢰도가 가장 높은 기관은 군대(41%)이고, 다음으로 청와대(40%), 정부부처(37%), 지방자치단체(29%), 경찰(28%), 검찰(27%), 법원(21%), 국회(9%) 순이었다.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20년 1월 기준 약 46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19년 12월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7,333명, 조사참여 1,416명, 조사완료 1,000명 (요청대비 13.6%, 참여대비 70.6%)
- 조사일시: 2020년 1월 28일 ~ 1월 30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이동한의 최근 글 (모두 보기)
- [기획] 나의 자녀, 있어야 할까? – 자녀관 인식조사 - 2022-06-28
- [기획] 대학교 반도체학과 설립 및 정원 확대에 대한 여론 - 2022-06-21
- [기획] 이혼과 동성결혼, 결혼 준비과정 및 결혼 비용 부담 등에 대한 인식 - 2022-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