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정책 긍정평가가 가장 높고, 주거·부동산정책 긍정평가가 가장 낮아
주요 12개 정책별 평가 결과, 보건·의료 정책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7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복지·분배(57%), 사회 안전(56%), 환경(53%), 에너지(45%), 교육(43%), 외교(40%), 여성(젠더)(35%), 일자리∙고용(35%), 대북(30%), 저출산·고령화(26%), 주거·부동산(25%) 정책 순이었다.
최근 악화된 대북관계가 반영된 결과, 대북정책 긍정평가가 한 달 전 대비 11%포인트 급락하였다. 주거∙부동산 정책에 대한평가도 6%포인트 하락하였다.
※ 각 정책별 평가
※ 각 정책별 긍정평가(최근 6개월)
※ 각 정책별 긍정평가 추이(2019년 이후)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년 5월 기준 약 49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19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6,338명, 조사참여 1,440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5.8%, 참여대비 69.4%)
- 조사일시: 2020년 6월 19일 ~ 6월 22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이동한의 최근 글 (모두 보기)
- [경제안보지표 – 2023년 5월 4주차] 국가안보 인식지수, 한 달 전 대비 큰 폭 개선 - 2023-05-30
- [2023 인공지능 인식조사] 주요 영역별 인공지능(AI) 발전 평가 및 직업 수행 전망 - 2023-05-23
- [집단별 갈등인식 – 2023년] 이념갈등, 여전히 우리나라의 가장 큰 갈등 축 - 202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