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정책 긍정평가가 가장 높고, 저출산·고령화정책 긍정평가가 가장 낮아
주요 12개 정책별 평가 결과, 보건·의료 정책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80%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사회 안전(59%), 복지·분배(59%), 환경(53%), 외교(49%), 교육(44%), 에너지(44%), 대북(41%), 여성(젠더)(37%), 일자리∙고용(36%), 주거·부동산(31%), 저출산·고령화(25%) 정책 순이었다.
보건·의료, 복지·분배정책의 긍정평가 상승세는 지속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동반 상승하였던 사회안전과 교육정책 평가는 이번에 소폭 하락하였다. 5월 연휴 직후 코로나19 집단 감염 발생, 등교 개학 적절성 논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각 정책별 평가
※ 각 정책별 긍정평가(최근 6개월)
※ 각 정책별 긍정평가 추이(2019년 이후)
일러두기
- 본 리포트의 데이터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 보고서 상에 표기된 값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응답 문항의 빈도는 그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 응답 사례 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년 4월 기준 약 49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각 조사별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각 조사별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19년 12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조사요청 6,079명, 조사참여 1,199명, 조사완료 1,000명(요청대비 16.5%, 참여대비 83.4%)
- 조사일시: 2020년 5월 22일 ~ 5월 25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이동한의 최근 글 (모두 보기)
- [경제안보지표 – 2023년 5월 4주차] 국가안보 인식지수, 한 달 전 대비 큰 폭 개선 - 2023-05-30
- [2023 인공지능 인식조사] 주요 영역별 인공지능(AI) 발전 평가 및 직업 수행 전망 - 2023-05-23
- [집단별 갈등인식 – 2023년] 이념갈등, 여전히 우리나라의 가장 큰 갈등 축 - 202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