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10개 정책 각각에 대해 잘하고 있는지 여부를 물어본 결과, ‘대북 정책’의 긍정 평가가 6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외교 정책’(60%), ‘보건 의료 정책’(58%), ‘사회 안전 대책’(53%), ‘복지 및 분배 정책’(52%), ‘환경 정책’(47%), ‘교육 정책’(39%), ‘저출산, 고령화 대책’(32%), ‘주거 및 부동산 정책’(30%), ‘일자리 및 고용 정책’(30%) 등의 순이었다. 주거 및 부동산 정책, 일자리 및 고용 정책은 긍정평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대북 정책이 가장 높고, 주거 및 부동산 정책, 일자리 고용 정책이 가장 낮아
주요 10개 정책별로 실행에 대한 평가(잘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하였다.
잘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정책은 ‘대북 정책’(64%)이었고, 다음으로 ‘외교 정책’(60%), ‘보건 의료 정책’(58%), ‘사회 안전 대책’(53%), ‘복지 및 분배 정책’(52%), ‘환경 정책’(47%), ‘교육 정책’(39%), ‘저출산, 고령화 대책’(32%), ‘주거 및 부동산 정책’(30%), ‘일자리 및 고용 정책’(30%) 등의 순이었다.
주거 및 부동산 정책, 일자리 및 고용 정책은 긍정평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담당자: 오승호 차장
전화: 02-3014-0167
e-mail: shoh@hrc.co.kr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18년 8월 기준 약 43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18년 1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메일발송 8,414명, 조사참여 1,356명, 조사완료 1,000명 (발송자 대비 11.9%, 참여자 대비 73.7%,유효 참여자 대비 86.3%)
- 조사일시: 2018년 9월 14일 ~ 9월 17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
오승호의 최근 글 (모두 보기)
- [기획] 에너지전환 4년, 국민들은 어떻게 평가할까? - 2021-07-28
- [대통령 국정운영평가 – 2020년 3월 2주차] 국정지지율 44%(▲2%p) - 2020-03-18
- [경제안보지표 – 2020년 3월 2주차] 국가경제 인식지수 -49, 2018년 1월 이래 최저치 - 2020-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