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식지수는 -40으로 지난 달(-39) 대비 1포인트 하락하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지역별로는 서울, 직업별로는 무직/퇴직/기타에서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올해 5월 이후 경제인식지수가 계속 하락세를 보였다.

국가안보 지수는 +24로 지난 달(+28) 대비 4포인트 하락하였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지역별로는 대전/세종/충청,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6월 이후 안보인식지수가 계속 하락세를 보였다.

국가경제 인식지수 -40 지난달 대비 1포인트 하락

국가경제에 대한 인식을 현재 상황 평가와 이후 전망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뒤, 평가와 전망의 순 긍정 응답비율을 산술평균 하여 지수화(-100과 100사이의 값)하였으며, 이는 미국갤럽의 경제인식 인덱스(Gallup’s U.S. Economic Confidence Index)를 참고하였다.

국가 경제 인식 지수는 -40으로 지난달(-39) 대비 1포인트 하락하였다. 5월 이후 경제 인식 지수가 하락세에 있다.

연령대, 거주지역, 직업별 국가 경제인식지수 추이

국가안보 인식지수 +24 지난달 대비 4포인트 하락

경제인식 인덱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국가안보에 대한 인식을 현재 상황 평가와 이후 전망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뒤, 평가와 전망의 순 긍정 응답비율을 산술평균 하여 지수화(-100과 100사이의 값)했다.

국가 안보 인식 지수는 +24으로 지난달(+28) 대비 4포인트 하락하였다. 6월 이후 안보 인식 지수가 하락세에 있다.

연령대, 거주지역, 이념성향별 국가 안보인식지수 추이

담당자: 오승호 차장
전화: 02-3014-0167
e-mail: shoh@hrc.co.kr

조사개요

  • 모집단: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 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18년 6월 기준 약 42만명)
  •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비례할당추출
  • 표본크기: 1,000명
  •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
  • 조사방법: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 가중치 부여방식: 2018년 1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 부여(림가중)
  • 응답률: 메일발송 6,981명, 조사참여 1,552명, 조사완료 1,000명 (발송자 대비 14.3%, 참여자 대비 64.4%,유효 참여자 대비 82.8%)
  • 조사일시: 2018년 8월 17일 ~ 8월 20일
  • 조사기관: ㈜한국리서치(대표이사 노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