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연(필자)

전화: 02-3014-1062 이메일: lee.sy@hrc.co.kr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11월 2주차)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며,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 또한 상승하였다. 실외에서 여전히 마스크를 착용한다는 응답이 높았지만, 실외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2022 대미인식조사] 미국 이미지와 한미관계인식

한국과 미국은 오랜 시간 국방과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력관계를 맺고 교류를 유지하고 있다. 한미수교 140주년을 맞아, 한미관계 및 미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를 확인해 보았다.

[코로나19] 69차 인식조사(2022년 10월 4주차)

자연녹지공간 방문, 지역축제와 핫플레이스 등 명소 방문, 지인과의 모임·회식 등 외부활동 경험이 한 달 전 대비 상승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지긋지긋함과 고립감 등 피로감을 느꼈다는 응답 또한 하락했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10월 4주차)

확진자 수가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 또한 상승했다. 내가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 또한 2주 전보다 높아졌지만, 2가 백신을 접종하겠다는 의향은 30%대에 그쳤다.

[기획] 지역화폐 정부지원 예산 삭감… 향후 지역화폐 이용 의향은? -지역화폐에 대한 인식조사

2016년 처음 시작된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 사업은 크게 성장해, 현재는 전국 거의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내년(2023년) 지역화폐 지원 예산을 전액 삭감하겠다고 밝히며, 사업 축소가 불가피해졌다. 지역화폐 사용 및 예산 삭감에 대해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코로나19] 68차 인식조사(2022년 10월 2주차)

코로나19 확산세가 잦아들면서, 방역보다는 경제회복을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통령실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등 코로나19 대응 공적 주체에 대한 신뢰도는 두 달 연속 상승하였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10월 2주차)

코로나19 국내 확산이 심각하지 않다는 인식이 상승하고, 감염 위험성 또한 하락하는 등 전반적인 상황 인식이 개선되는 흐름을 이어갔다.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는 완전히 해제되었지만, 여전히 실외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높았다.

[코로나19] 67차 인식조사(2022년 9월 5주차)

코로나19가 가정경제에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두 달째 상승하였다. 지역 명소 방문, 경조사 참석, 지인과의 모임·회식 등 외부활동 경험이 있다는 응답 또한 한 달 전 대비 상승해, 본 조사 시작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획]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엇갈린 시선 – 높은 기대감과 불완전한 신뢰

정부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국내 일부 기업은 조건부 자율운전이 가능한 차량을 곧 선보일 예정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만, 정책 준비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국민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입법 과정에 적용해 충분한 공감을 얻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를 확인해 보았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9월 5주차)

국내 확산상황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다시 한 번 큰 폭으로 하락했고, 대통령과 정부가 대응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2가 백신(개량백신)을 접종하겠다는 의향은 2주 전 대비 감소했다.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