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한(필자)

전화: 02-3014-1060 이메일: dhlee@hrc.co.kr

[경제안보지표 – 2023년 3월 4주차] 경제 및 안보인식, 한 달 전 대비 모두 소폭 개선

지난 달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가정경제 인식지수가 석 달 만에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하였다. 국가경제 인식지수와 국가안보 인식지수도 한 달 전 대비 소폭 상승했다.

[질병관리청-한국리서치 특별기획]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수립 국민인식조사

최근 신종감염병 발생 주기는 짧아지고, 그 규모는 커지는 추세이다. 반면 감염병 위기 대응을 위한 기반 구축은 장시간 소요됨을 고려 시, 미래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전략의 신속한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질병관리청은 한국리서치와 함께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주요 방역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수용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고자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기획] Z세대에 대한 인식과 오해

사람들은 Z세대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Z세대의 특징으로 알려진 것들에 대해, 당사자인 Z세대는 충분히 동의하고 있을까? 성향,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 직업선택 시 고려하는 점을 주제로, Z세대와 윗세대에게 동일하게 질문을 던져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2023 세대인식조사] 세대갈등 및 다른 세대에 대한 인식

10명 중 8명이 우리 사회의 세대갈등이 심각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고, 세대갈등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은 소수에 그쳤다. 다른 세대와 관계를 맺는 것을 어렵게 느끼는 사람이 2년 전보다 늘어난 반면, 다른 세대에게 느끼는 친근감은 2년 전보다 감소해 세대 간의 거리감이 커졌음이 확인되었다.

[사회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3년 3월] 의료기관 역할수행 긍정평가 큰 폭 하락

의료기관이 자신의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대기업, 사회복지시설·기관, 초·중등교육기관에 대한 평가도 지난 해 8월보다 나빠졌다.

[경제안보지표 – 2023년 2월 4주차] 가정경제 인식지수 -31, 역대 최저치

현재 가정경제 상황과 향후 가정경제 전망을 종합한 가정경제 인식지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가경제와 국가안보 인식 또한 부정적인 흐름이 이어졌다.

[기획] 노키즈존에 대한 여론, 어떻게 변했을까?

2021년 11월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71%가 노키즈존을 허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1년여가 지난 지금, 노키즈존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했을까? 노키즈존 이후 생겨난 다수의 '노OO존'에 대한 생각도 같이 확인해 보았다.

[기획] 대마에 대한 인식 및 대마 합법화 여론조사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의료 목적의 대마 사용이 법적으로 가능하며, 캐나다, 멕시코, 태국, 우루과이 등은 기호 목적의 대마 사용까지도 합법이다. 마약에 대한 인식이 지극히 부정적이고 경각심도 높은 한국 사회에서 대마 합법화에 대해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코로나19]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완화에 대한 여론

1월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완화되었으나, 3명 중 2명 이상이 실내 다중이용시설 및 업무공간에서 마스크를 계속 착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 대중교통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 또한 우세하였다.

[경제안보지표 – 2023년 1월 4주차] 현재 가정경제 및 국가안보 상황 평가, 2018년 이후 가장 부정적

국가안보 인식지수가 북한 무인기 사건 직전 조사 대비 11포인트 하락했다. 현재 가정경제 상황, 현재 국가안보 상황에 대한 평가는 모두 조사 시작 이래 가장 부정적이었다.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