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조사결과2022-05-11T08:07:18+09:00

[기획] 이주민과 함께 누구나 존엄하게, 공존하는 사회로 나아가야 – 이주민 수용도 및 인권 인식 조사

코로나19 이후 국내 체류 외국인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국내 노동시장에서 이주노동자들의 경제활동 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결혼이민이 10년 이상 지속되면서 자녀세대의 규모가 확대되었고, 최근 가족 이주 등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올해 7월~9월 실시한 「2022년 인권의식실태조사」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이주민에 대한 우리 국민의 수용도 및 인권 인식을 살펴보았다.

By |2022년 12월 7일|사회, 다문화, 차별·혐오|

[2022 종교인식조사] 주요 종교 호감도 및 종교 효능감

불교와 천주교에 대한 호감도가 1년 전 대비 하락했으나, 개신교 호감도보다는 여전히 높았다. 응답자 3명 중 1명만이 종교가 내 삶에 영향을 준다고 답했으나, 종교가 한국 사회에 주는 영향력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이었다.

By |2022년 12월 7일|문화, 종교|

[별난리서치] 한국인의 색상 인식 조사 – 색상선호도, 여러 감정과 어울리는 색상 등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색은 무엇일까? 행복 혹은 슬픔과 가장 어울리는 색은 무엇이라고 생각할까? 색상에 대한 선호도, 그리고 주요 감정과 어울리는 색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2년 11월 30일|문화, 문화일반, 별난리서치|

[2022 교육인식조사] 대학 서열화와 학력 차별 인식, 교육자의 역량 및 자질 평가

10명 중 8명 이상이 대학 서열화가 심각하다는 데 공감하였다. 학력 및 학교급간의 차별에 대해서도 심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대학 교수의 역량과 자질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1년 전보다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부정적인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By |2022년 11월 30일|사회, 교육·시험|

[기획] 노동조합과 파업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인식

한국 사회에서 노동조합과 파업에 대해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노동조합과 파업을 바라보는 시선은 단순히 ‘긍정적’ 또는 ‘부정적’ 둘 중 하나의 단어로 충분히 설명될 수 있을까? 노동조합과 파업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2년 11월 22일|사회, 산업·기업, 경제, 노동, 사회갈등|

[2022 교육인식조사] 대학 진학 및 학력에 대한 인식

전체 응답자 3명 중 2명이 우리나라에서 대학 진학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대학 진학을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3년 전 대비 감소했으나, 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공고한 인식이 확인되었다.

By |2022년 11월 22일|사회, 교육·시험|

[기획] 심야 택시난 완화 대책, 떠난 택시기사들 유턴시킬 수 있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밤마다 택시를 잡기 위한 인파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택시 공급이 부족해진 탓이다. 서울시는 지자체 차원에서 택시요금 인상안을 꺼내 들었고,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월 4일 심야 택시난 완화를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시민들은 택시 공급 부족으로 어느 정도의 불편을 겪고 있을까? 택시난 해결을 위한 요금 인상에 대한 여론은 어떨까?

By |2022년 11월 16일|교통, 사회, 산업·기업, 경제|

[2022 대미인식조사] 미국 이미지와 한미관계인식

한국과 미국은 오랜 시간 국방과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력관계를 맺고 교류를 유지하고 있다. 한미수교 140주년을 맞아, 한미관계 및 미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를 확인해 보았다.

By |2022년 11월 9일|미국, 국제|

[2022 부동산인식조사] 부동산 투자 및 주택 보유 인식

부동산 투자가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지난 해 11월 대비 소폭 하락했다. 내 소유의 집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지만, 세금인상 및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는 경우를 전제로 할 경우에는 다른 응답이 나왔다.

By |2022년 11월 9일|부동산, 경제|

[기획] 예산 편성 과정에 대한 국민 참여 – 내가 예산안을 짠다면?

정부와 국민과의 소통, 국회와 국민과의 소통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지금, 국민들이 직접 예산 편성에 참여하는 것은 국가 재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고 정부 정책의 당위성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만약 국민들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한다면 어떻게 예산을 배분하고 싶어 할까?

By |2022년 11월 1일|정치, 정부기관, 행정자치|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