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난리서치] 내가 선호하는 취미활동, 배우자에게 권장하는 취미활동

배우자의 취미활동은 어디까지 허용할 수 있을까? 기혼남녀에게 이는 논쟁적인 주제이고, 때에 따라서는 배우자의 취미활동이 부부관계를 악화시키는 큰 요인이 되기도 한다. 취미활동의 빈도와 목적, 고려사항 등과 함께 배우자에게 권장하는 취미활동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별난리서치] 신(神)과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인식

신(神)은 존재하는가? 인류가 탄생했을 때부터 존재했을 법한 이 질문은 삶을 대하는 방식을 규정하는 물음이기도 하다. 신의 존재와 신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력, 사후세계와 귀신 등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믿음을 확인해 보았다.

[별난리서치] 한국인의 색상 인식 조사 – 색상선호도, 여러 감정과 어울리는 색상 등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색은 무엇일까? 행복 혹은 슬픔과 가장 어울리는 색은 무엇이라고 생각할까? 색상에 대한 선호도, 그리고 주요 감정과 어울리는 색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별난리서치] 짜장면vs짬뽕, 탕수육부먹vs찍먹… 음식밸런스게임의 결과는? (부제: 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그룹분류)

짜장면 vs 짬뽕, 탕수육 부먹 vs 찍먹, 족발 vs 보쌈...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음식밸런스게임 문항이다. 재미로만 즐겼던 음식밸런스게임을, 조금 진지하게 접근해 보았다. 13개 음식밸런스게임의 승자는 누구인가? 그리고 사람들의 음식 취향은 어떻게 구분이 될까?

[별난리서치] 이름과 성명학(姓名學)에 대한 인식

이름은 타인과 나를 구분하는 가장 기초적인 수단이다. 이름을 신중하게 잘 지어야 한다는 데에는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그런데, 이를 넘어서 이름에 따라 사람의 운명이 결정되고, 음양오행 등 성명학의 원리에 따라 이름을 지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별난리서치] 궁합(宮合)에 대한 인식

궁합(宮合)은 믿을 수 있는 것일까, 아니면 미신에 불과한 것일까? 궁합이 연인을 선택하고 만남을 지속하는 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궁합을 본 경험, 그리고 궁합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별난리서치] 날씨와 계절에 대한 인식 조사

봄을 좋아하는 사람이 더 많을까, 가을을 좋아하는 사람이 더 많을까? 사람들은 여름과 겨울이 길어진 걸 체감하고 있을까? 날씨와 계절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던져보았다.

[별난리서치] 더치페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식당이나 카페 계산대 앞에서 ‘나눠서 결제할게요.’ 혹은 ‘내가 먼저 결제 할테니 나중에 보내줘.’ 와 같은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더치페이(Dutch Pay)’ 문화는 우리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 ‘더치페이’는 네덜란드(네덜란드인)를 의미하는 ‘더치(Dutch)’와 ‘대접/한턱(Treat)’의 의미가 결합한 ‘더치 트리트(Dutch Treat)’에서 유래 하였다. 영국과의 식민지 경쟁 이후 영국인이 네덜란드(네덜란드인)를 부정적으로 칭하면서 대접이 아닌, 각자 계산한다는 의미의 ‘더치페이(Dutch Pay)’로 변모했다. 사람들은 [...]

[별난리서치] 점(占), 신년운세에 대한 인식조사

점(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을까? 최근 5년 사이 점을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41% 수시로, 혹은 큰 일이 있을 때 봤다는 응답은 소수 2017년 이후 한 번이라도 사주, 타로, 관상, 신점 등 점(占)을 본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41%였다. 남자(35%)보다는 여자(48%)가 점을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높았고, 60세 이상(29%)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최소 40% 이상이 [...]

[별난리서치] MBTI, 얼마나 알고 있을까?

MBTI 대중화의 시작, 2020년 6월 2020년 6월 13일  MBC ‘놀면 뭐하니’ 에서 MBTI 검사 방송 이후 MBTI 검색량 큰 폭 증가 MBTI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미국 심리학자 캐서린 브릭스와 그의 딸 이사벨 마이어스가 정신분석학자 칼 융의 성격 유형 이론을 근거로 만든 심리 검사이다. MBTI는 우리나라에서 꽤 오래 전부터 활용되었는데, 도입 초기에는 주로 진학이나 취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