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조사결과2022-05-11T08:07:18+09:00

[기획] 노키즈존에 대한 여론, 어떻게 변했을까?

2021년 11월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71%가 노키즈존을 허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1년여가 지난 지금, 노키즈존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했을까? 노키즈존 이후 생겨난 다수의 '노OO존'에 대한 생각도 같이 확인해 보았다.

By |2023년 2월 22일|사회, 어린이·육아, 차별·혐오|

[기획] 대마에 대한 인식 및 대마 합법화 여론조사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의료 목적의 대마 사용이 법적으로 가능하며, 캐나다, 멕시코, 태국, 우루과이 등은 기호 목적의 대마 사용까지도 합법이다. 마약에 대한 인식이 지극히 부정적이고 경각심도 높은 한국 사회에서 대마 합법화에 대해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By |2023년 2월 22일|사회, 정치, 사법기관, 범죄·안전|

[기획] 마약 문제 확산? 금기는 여전하다 – 마약에 대한 인식조사

정부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마약에 대한 위험 인식이 약화되었고, 사회 전반적으로도 마약 문제가 심각해졌다며 취임 초부터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나섰다. 정부의 우려처럼 국민들의 마약에 대한 경계심이 무너졌을까?

By |2023년 2월 15일|사회, 정치, 사법기관, 범죄·안전|

[기획] 범죄 처벌 수준 강화에 대한 여론

범죄자가 자신이 저지른 죄만큼 적절한 처벌을 받고 있는지, 처벌이 그 효과를 다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우리 사회에는 존재하는 것 같다. 우리 국민이 생각하는 적절한 처벌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범죄 처벌 수준 강화에 대한 여론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3년 2월 15일|사회, 정치, 사법기관, 범죄·안전|

[기획] 반려인과 비(非)반려인의 공존 방안은? – 반려견 문제에 대한 인식 조사

2020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는 300만을 넘고, 전체 가구의 15%를 차지한다. 여건이 된다면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다는 사람의 수도 적지 않아, 반려동물을 둘러싼 갈등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려견 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반려인과 비(非)반려인의 공존 방안을 살펴보았다.

By |2023년 2월 7일|사회, 동물, 사회갈등|

[2023 대중인식조사] 중국 이미지와 한중관계 전망

지난해 한국과 중국은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2017년 4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한중관계는 좋지 않은 상황이고, 중국에 대한 한국 국민의 호감도 또한 낮다. 중국에 대한 이미지, 한중관계 평가와 향후 전망 등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3년 2월 7일|중국, 국제|

[기획]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조사

데이트 폭력 범죄 신고는 2020년 1만 9,940건에서 2021년 5만 7,297건으로 1년 만에 3배로 급증했다. 데이트 폭력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이슈화된 현 시점에서, 일반 국민들은 데이트 폭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이에 대해 심각성을 느끼고 있을까?

By |2023년 2월 1일|사회, 정치, 정부기관, 범죄·안전, 젠더|

[기획] 촉법소년 범죄 해결 여론 – 엄벌주의 선호하지만, 정확한 정보 제공 우선되어야

지난해 11월, 법무부는 소년법 개정안 입법예고를 통해 촉법소년 연령 상한을 만 13세로 낮추는 내용을 공개하였다. 개정안이 확정될 경우 만 13세 청소년이 범죄를 저지를 시 형사처분을 받게 된다. 법 개정을 앞둔 시점에서, 촉법소년 연령 하향 개정안 및 촉법소년 범죄에 대한 국민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3년 1월 24일|사회, 사법기관, 정치, 범죄·안전|

[새해맞이 – 2023년] 새해맞이와 2023년 개인 목표

2023년 계묘년, 본인의 삶은 좀 더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우세했다. 반면 우리나라에 대한 전망은 밝지 않았다. 신년 모임을 가졌거나, 계획하고 있다는 응답은 1년 전보다 크게 늘었다.

By |2023년 1월 18일|사회, 명절·송년·신년맞이|

[기획] 2023년 설 모임 및 일정 계획

평소보다 이른 설 명절이 다가왔다. 설 명절 모임 계획을 확인한 결과, 지난 추석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임을 가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명절에 여행을 갈 것이라는 사람 또한 지난 추석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By |2023년 1월 18일|사회, 문화, 문화일반, 명절·송년·신년맞이|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