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조사결과2022-05-11T08:07:18+09:00

[22대 총선 특집] 투표율 분석

22대 총선 최종투표율은 67.0%로, 총선 기준 3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투표율 상승이 여야의 유불리에 미치는 영향, 인구 구조와 지난 대선에서의 결과에 따른 지역별 투표율의 차이, 각 연령대별 유권자 비율에 따른 사전투표자 비중의 차이 등 22대 총선 투표율과 관련한 다양한 분석을 진행해 보았다.

By |2024년 4월 15일|정치, 선거|

[22대 총선 특집] 사전투표율 분석

22대 총선 사전투표율이 31.28%로 총선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라남도 기초자치단체의 사전투표율이 가장 높고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의 사전투표율이 가장 낮은 가운데, 지난 선거에서의 투표율과 결과, 연령대별 인구구성비 등을 활용해 이번 총선 사전투표율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By |2024년 4월 8일|정치, 선거|

[기획] 잠, 어떻게 해야 ‘잘’ 잘 수 있을까? – 한국인의 수면 행태 확인 및 수면의 질 평가

현대 사회에서 수면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바쁜 현대 사회에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수면 부족에 시달린다. 한국 사람들의 수면 행태와 습관, 평소 느끼는 수면의 질, 그리고 수면의 질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두루 살피고,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수면을 누릴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By |2024년 4월 2일|생활, 사회, 문화, 의료·보건|

[2024 젠더인식조사] 대한민국, 남녀가 평등한 사회인가?

10명 중 8명이 우리 사회의 양성평등 수준을 보통 이하라고 평가하며,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낮다는 인식이 주를 이룬다. 양성평등 사회를 이루기 위한 개인과 가정의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입법부·사법부·행정부, 지방자치단체 등 공적 영역에서의 노력은 부족하다는 인식이 4년째 이어지고 있다.

By |2024년 4월 2일|사회, 사회갈등, 젠더|

[기획] 의대 정원 확대 여론, 어떻게 변했을까?

의대 입학 정원 확대를 놓고 정부와 의사 간 대립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시민들의 불편함과 피로도가 가중되고 있다. 한 달 전과 마찬가지로 의사 증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여전히 우세하나, 구체적인 증원 규모와 방식은 정부와 의료계가 협의해 새로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By |2024년 3월 27일|사회, 사회갈등, 의료·보건|

[22대 총선 특집] 선거구별 인구구성 및 인구변화 분석

제22대 총선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지역 주민의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지역구와 가장 낮은 지역구는 어디일까? 4년 전과 비교할 때, 평균연령이 감소한 유일한 지역구는 어디일까? 18-29세 유권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구는 어디일까? 254개 지역구 별 인구구조를 확인해 보았다.

By |2024년 3월 27일|정치, 선거|

[2024 젠더인식조사] 젠더갈등, 정말 심각한 문제인가? 서로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는 지점 있어

한국사회의 젠더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1년 전 대비 다소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2·30대와 40대 이상 간 온도차이도 확인된다.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직장 내 여성차별이 심각하다는 데, 3명 중 1명은 가정 내 여성차별이 심각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으나, 세대와 성별 간 차이는 뚜렷하다.

By |2024년 3월 20일|사회, 사회갈등, 젠더|

[사회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4년 3월] 의료기관 역할수행 긍정평가, 반년 새 반토막

지난 조사까지 꾸준하게 높았던 의료기관에 대한 역할수행 긍정 평가가 이번 조사에서 반토막이 났다. 반면 지난 조사에서 크게 하락했던 초·중등교육기관에 대한 평가는 이번 조사에서 반등에 성공하였다.

By |2024년 3월 20일|사회, 사회일반|

[기획] 두 번째 스무 살? 퇴직 후에도 다시 일해야 할까? – 퇴직 후 경제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일컫는 ‘두 번째 스무 살’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고 익숙해지고 있다. 사람들은 실제로 퇴직 후 경제활동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을까? 언제까지,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기를 원할까?

By |2024년 3월 13일|사회, 노동, 세대|

[2024 세대인식조사] 세대갈등 및 다른 세대에 대한 인식

한국 사회의 세대갈등이 심각하다는 사람이 4년 연속 80%를 넘었다. 세대갈등이 지금보다 심각해질 것이라고 전망하는 사람도 절반에 달했다. 다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을 어렵게 느끼는 사람은 1년 전보다 소폭 감소했다.

By |2024년 3월 13일|사회, 사회갈등, 세대|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