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간병이 필요한 시대에 사는 우리 – 간병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은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보니 돌봄, 부양을 받아야 하는 대상이 대부분 노인에 초점 맞춰져 있다. 그러나 수발 등의 신체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간병 돌봄은 나이와 관계없이 우리 누구에게나 갑자기 닥칠 수 있는 일이다. 간병이 필요할 상황을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간병에 대해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기획] 문신, 예술이자 의술 – 문신업 합법화에 대한 인식조사

2021년 6월 보건복지부가 국회 입법조사처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문신 시술 이용자를 1,300만 명으로 추정할 정도로 문신은 대중적인 영역에 들어섰다. 하지만 문신 수요와 업계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의료인이 아닌 문신사의 문신 시술은 불법이다. 문신 및 문신업 합법화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기획] 코로나19가 불러온 비대면 진료, 그 이후 전망은? – 비대면 진료 법제화에 대한 인식조사

정부가 올해 6월 입법을 목표로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으며, 비대면 진료 법제화 논의가 화두에 올랐다.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한 시점에서, 비대면 진료 법제화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기획] 원숭이두창 상황인식 및 방역대응 여론(2022년 8월 4주)

9월 2일 현재, 원숭이두창에 확진된 사람은 전 세계 97개 국, 53,420명으로 집계되었다. 8월 중순부터 확진자 증가 폭이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점은 고무적이지만,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국내 두 번째 원숭이두창 환자가 발생하기 직전인 8월 26일 ~ 29일, 원숭이두창 상황 및 대응평가를 확인해 보았다.

[기획] 원숭이두창 상황인식 및 방역대응 여론(2022년 7월 4주)

지난 7월 23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원숭이두창에 대해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하였다. 아직 국내 확진자 수는 1명에 그치고 있으나, 정부와 방역당국은 원숭이두창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원숭이두창 국내 발생상황 및 대응에 대한 여론을 알아보았다.

[기획] 품위 있는 죽음을 선택할 권리, 존엄사 입법화 및 지원에 대한 국민 여론은?

오랜 시간 치료를 받는 환자 본인이 원하면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삶을 마감하는 ‘조력 존엄사’ 법안이 국회에서 처음 발의되었다. ‘조력 존엄사’ 법은 2018년 시행된 '연명의료결정법'보다 한단계 나아가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결정권을 높인 것이다. 조력 존엄사 및 그에 따른 법제화, 지원 정책 등에 대한 여론을 확인해 보았다.

[기획] 원숭이두창 상황인식 및 방역대응 여론(2022년 6월 5주)

원숭이두창(Monkeypox)은 중·서부 아프리카 국가의 풍토병이었으나, 지난 5월부터 이례적으로 유럽과 미국 등에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첫 번째 확진자가 발생한 가운데, 원숭이두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의심증상 발생 시 자발적인 신고 의향을 확인해 보았다.

[기획] 포스트 코로나 시대, 건강 관리의 사각지대 ‘치아 건강’

치아 건강은 예로부터 오복 중 하나라고 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실제로 치아 건강이 오복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나 ‘이(치아)는 오복에 들었다’고 표현하듯 신체 전반의 건강에 치아 건강이 중요하다는 점은 예나 지금이나 통용되는 이야기다. 작년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로, 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 위생관리를 비롯하여 우리 사회 전반에서 신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높아지는 양상에 비해 [...]

[기획] 의대생 국시 응시 기회 부여에 대한 의견

의대생 국시 응시 기회 부여에 대한 여론 의대생 국시 응시 기회 부여 반대 50%, 찬성 40% 의료정책 추진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은, 지난 9월 4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대한의사협회가 합의안을 구성하고 전공의와 전임의가 병원으로 속속 복귀하면서 일단락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의대생들이 합의안 구성 이후에도 동맹휴업을 지속하고, 의사 국가고시(국시)에 응시하지 않으면서 갈등이 이어지는 양상이다. 의대생들이 지난 9월 13일 ‘의사 [...]

[기획] 정부-의료계 갈등, 4대 쟁점별 여론은?

정부-의료계 갈등에 대한 관심 정도 의료정책을 둘러싼 정부-의료계 갈등,‘관심 있다’ 77% 의사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 의료정책 추진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극에 달하였다. 정부의 정책 추진에 반발한 전공의(인턴 및 레지던트)들은 무기한 총파업(집단휴진)에 들어갔고, 대한의사협회도 ‘정부가 정책을 철회하지 않으면 9월 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간다’ 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업무개시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전공의 10명을 경찰에 고발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