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인식, 백신접종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1월 4주차)
1월 초 이후 일일 확진자 수가 점진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코로나19 상황 및 감염 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차 이상 접종을 마친 사람 10명 중 4명 가량은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여전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초 이후 일일 확진자 수가 점진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코로나19 상황 및 감염 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차 이상 접종을 마친 사람 10명 중 4명 가량은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여전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이후, 경제회복이 방역보다 중요하다는 응답을 두 배 가까이 앞서고 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앞뒀으나, 10명 중 4명만이 올해 안에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적인 삶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지난 해 6월 마지막 주 조사 이후 처음으로, 정부 코로나19 대응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앞섰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가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10명 중 7명 이상은 규제 변화와 관계없이 실내에서 계속 마스크를 착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코로나19로 인해 지긋지긋한 감정과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응답이 높았다.
올 한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자신의 인간관계를 돌아보고 관계 형성을 위해 어떠한 방식의 노력을 했는지, 선호하는 관계 맺음 방식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코로나19 상황 심각성과 정부 대응 평가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여전히 10명 중 4명 이상이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없다는 입장이었으나, 60세 이상에서는 3명 중 2명이 이미 접종을 했거나, 접종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가까운 시일 내 코로나19 이전 일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상승했다. 한 달 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방역당국에 대한 신뢰도는 이번 조사에서 반등에 성공하였다.
신규 확진자 수가 일평균 5-6만명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코로나19 상황인식과 정부 대응 평가는 소폭 개선되었다. 보건당국이 실내 마스크 의무화 해제를 검토하기 시작한 가운데, 이에 대한 찬반은 엇갈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반 년째 점진적인 감소세를 이어갔다. 종교 모임 참석, 타지역 거주 가족과 지인 방문, 해외여행 경험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과 최대 7만 명까지 나오고 있으나, 국내 확산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정부는 2가백신(개량백신)의 접종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으나, 2가백신 접종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오히려 한달 전 대비 소폭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