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지표

사회지표2022-04-13T08:10:00+09:00

[질병관리청-한국리서치 특별기획] 2024년 상반기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수립을 위한 국민인식조사

코로나19 안정화 이후에도 방역 정책 수립이나 미래 팬데믹 대비를 위한 국민 인식 파악과 정책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신종감염병 관련 인식조사를 통해 국민의 관심과 이슈를 파악하고, 소통 강화를 위한 주기적인 국민의견 수렴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상회복에 따른 감염병 정책 수립 및 사회 변화에 따른 양방향 소통 전략의 근거로 활용하고자 본 조사를 기획하였다.

[기획] 입법공백 속 임신중단 인식, 임신‧출산 스스로 결정할 권리 더 중요해 – 임신중단에 대한 인식조사

2019년 4월 헌법재판소는 낙태죄(형법 269조)가 헌법의 뜻에 맞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헌법재판소의 판결 이후 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임신중단에 관한 법령이 정리되지 않아 혼란은 여전하다.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 중 더 지지하는 것, 임신중단 허용 여부, 임신중단 진료 거부권, 경구용 낙태약 도입 등 주요 쟁점에 대한 여론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4년 5월 22일|사회, 가족, 어린이·육아, 의료·보건|

[2024 대북인식조사] 북한 이미지 및 남북관계평가

북한은 연초부터 서해 포사격 도발, 중거리급 탄도미사일 발사 등 미사일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한민국을 주적으로 간주하는 등 그 어느때보다 남북대립의 골이 깊어지는 현 시점에서, 한국 국민은 북한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북한 이미지 및 남북관계 전망 등을 확인해 보았다.

By |2024년 5월 22일|북한, 국제|

[2024 결혼인식조사] 결혼생활에 더 만족하는 사람은? – 결혼생활 만족도 조사

기혼 남녀가 평가한 결혼생활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나, 성별과 혼인기간, 가구소득 등에 따른 차이가 확인된다.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 더 행복하다는 데에는 절반 정도가, 결혼하면 아이를 가져야 한다는 데에는 5명 중 3명이 동의한다.

By |2024년 5월 8일|사회, 결혼|

[주변국 지도자 호감도 – 2024년 4월] 기시다 총리 호감도, 2년 전 대비 10도 이상 상승

미국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는 다른 4개국 지도자 호감도에 비해 여전히 크게 높다. 일본 기시다 총리 호감도는 2년 전 대비 10도 이상 높아진 반면 시진핑 주석, 김정은 국무위원장, 푸틴 대통령 호감도는 20도 이하 낮은 수준에서 정체가 지속되고 있다.

By |2024년 5월 7일|주변국 호감도, 국제|

[정보·사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4년 4월] 국세청·해양경찰청·관세청 긍정평가 소폭 상승

국세청, 해양경찰청, 관세청 등은 지난해 10월 대비 역할수행 긍정평가가 4~5%포인트 상승했다. 경찰청이 역할수행을 잘 하고 있다는 평가는 2020년 8월 이후 처음으로 30%를 넘었으나, 공수처에 대한 긍정평가는 여전히 10%대에 머물렀다.

By |2024년 5월 7일|정치, 사법기관, 정부기관|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