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이주민과 함께 누구나 존엄하게, 공존하는 사회로 나아가야 – 이주민 수용도 및 인권 인식 조사

코로나19 이후 국내 체류 외국인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국내 노동시장에서 이주노동자들의 경제활동 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결혼이민이 10년 이상 지속되면서 자녀세대의 규모가 확대되었고, 최근 가족 이주 등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올해 7월~9월 실시한 「2022년 인권의식실태조사」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이주민에 대한 우리 국민의 수용도 및 인권 인식을 살펴보았다.

[기획]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 변화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제도적 지원 필요성 남성 육아휴직 증가, 인식의 변화로도 확인 남성이 여성과 동일하게 육아휴직 쓰는 것, 시기상조 아니다 61% 아빠가 휴직을 하면서까지 육아를 할 필요 없다, 그렇지 않다 72% 지난 2월 1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적인 육아휴직자 수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남성 육아휴직자의 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

[기획] 징병제를 둘러싼 남녀 갈등 – 군복무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인정의 부재가 만든 균열

과거부터 주기적으로 이슈가 되어왔던 ‘여자도 군대에 가야한다’는 논쟁이 온라인상에서 다시 뜨겁다. 비단 온라인에서뿐만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남녀평등복무제’, ‘군 가산점 제도 재도입‘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남성 유권자의 마음을 잡기에 바쁘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팀은 지난 6월 4일 ~ 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군 징병제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징병제를 둘러싼 남녀 갈등의 이면에 무엇이 정말로 논의되어야 하는 [...]

[기획] 가족 호칭에 대한 인식조사

가족 호칭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우리사회의 전통일까,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야 하는 대상일까? 각 가정에서 호칭의 변화가 어느 정도 수용 가능할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연구팀은 지난 8월 만 19세 이상 전국 1,000명 대상의 <여론 속의 여론> 웹조사를 통해 가족 호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우리 국민 62%는 가족 호칭이 변화하는 가치관을 반영하지 못하고 여전히 성별 비대칭적이라는 문제의식에 [...]

[기획] 급변하는 한국인의 가족에 대한 인식

[series_post_list_box]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우리 국민들의 가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새로운 가족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였다. 우리 국민 2명 중 1명은 결혼을 반드시 할 필요는 없다고 응답했다. 또한, 결혼을 하지 않고도 남녀가 같이 살수 있다는 응답이 61%로 과반 이상이었고,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다는 응답도 40%에 이르렀다. 남녀가 함께 살고 아이를 낳아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