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세대인식조사] 세대갈등 및 다른 세대에 대한 인식

10명 중 8명이 우리 사회의 세대갈등이 심각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고, 세대갈등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은 소수에 그쳤다. 다른 세대와 관계를 맺는 것을 어렵게 느끼는 사람이 2년 전보다 늘어난 반면, 다른 세대에게 느끼는 친근감은 2년 전보다 감소해 세대 간의 거리감이 커졌음이 확인되었다.

[사회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3년 3월] 의료기관 역할수행 긍정평가 큰 폭 하락

의료기관이 자신의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대기업, 사회복지시설·기관, 초·중등교육기관에 대한 평가도 지난 해 8월보다 나빠졌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마스크 착용 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3월 2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지난 해 6월 이후, 내가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은 지난 해 7월 이후 가장 낮았다.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가 임박했으나, 10명 중 7명은 규제 변화와 관계없이 실내에서 계속 마스크를 착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기획] 정치 양극화, 선거제도가 문제인가?

정치갈등이 문제로 제기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에는 양당체제의 강화, 네거티브 정치와 팬덤정치 등이 맞물려 갈등의 정도가 격화되었다. 내년 22대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선거제도 개혁이 이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가 될 수 있을까?

[코로나19] 77차 인식조사(2023년 2월 4주차)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와 나의 가정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한 달 전 대비 증가했다. 조사 직전 2주 동안 '다중이용시설 방문'과 '지인과의 모임, 회식'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2020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제안보지표 – 2023년 2월 4주차] 가정경제 인식지수 -31, 역대 최저치

현재 가정경제 상황과 향후 가정경제 전망을 종합한 가정경제 인식지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가경제와 국가안보 인식 또한 부정적인 흐름이 이어졌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백신접종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2월 4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6차 유행이 이어졌던 지난 해 8월의 1/3 수준으로 낮아졌다.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지난 해 11월 이후 감소세를 이어갔다.

[기획] 노키즈존에 대한 여론, 어떻게 변했을까?

2021년 11월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71%가 노키즈존을 허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1년여가 지난 지금, 노키즈존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했을까? 노키즈존 이후 생겨난 다수의 '노OO존'에 대한 생각도 같이 확인해 보았다.

[기획] 대마에 대한 인식 및 대마 합법화 여론조사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의료 목적의 대마 사용이 법적으로 가능하며, 캐나다, 멕시코, 태국, 우루과이 등은 기호 목적의 대마 사용까지도 합법이다. 마약에 대한 인식이 지극히 부정적이고 경각심도 높은 한국 사회에서 대마 합법화에 대해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코로나19] 76차 인식조사(2023년 2월 2주차)

코로나19 일상 회복 시기가 앞당겨 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한 달 전 대비 상승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한 달 전 대비 소폭 상승했다.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