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난리서치] 짜장면vs짬뽕, 탕수육부먹vs찍먹… 음식밸런스게임의 결과는? (부제: 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그룹분류)

짜장면 vs 짬뽕, 탕수육 부먹 vs 찍먹, 족발 vs 보쌈...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음식밸런스게임 문항이다. 재미로만 즐겼던 음식밸런스게임을, 조금 진지하게 접근해 보았다. 13개 음식밸런스게임의 승자는 누구인가? 그리고 사람들의 음식 취향은 어떻게 구분이 될까?

[기획] 비거니즘, 지속될 수 있을까?

비거니즘은 동물성 식품 섭취를 줄이고, 식물성 식품 섭취를 늘리는 채식주의에서 나아가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동물에 대한 착취를 거부하는 철학이자 삶의 방식이다. 비거니즘 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나, 우리 사회에서 아직 비거니즘은 생소한 개념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다. 과연 사람들은 비거니즘을 잘 알고 있을까?

[기획] 채식주의에 대한 인식 – ‘채식할 권리’는 어디까지 보장되어야 할까?

채식 열풍과 함께, 학교, 군대 등과 같은 공공급식에서 비육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는 '채식 선택권'이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우리나라에 채식주의를 실천하는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 그리고 사람들은 채식 선택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기획] 일회용 컵 보증금제도, 이번엔 성공할까?

2008년에 도입되었으나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폐기되었던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14년 만에 부활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환경 문제의 중심으로 떠오른 가운데, 보증금제도가 일회용품 쓰레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기획] 코로나19 시대, 그리고 그 이후의 회식문화

최근 1년간 회식 경험 지난 1년간 회식 경험자의 44%, 전체 응답자의 27%는 회식 2차 경험 있다고 답해 ‘회식 포비아’라는 합성어는 ‘회식’과 ‘포비아(Phobia, 공포증)’가 결합 된 단어이다. 모임 인원과 영업시간 제한 방침이 완화되면서 언제 잡힐지 모르는 회식 약속에, 회식에 참여하고 싶지 않은 심리적 상태가 반영된 표현이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팀은 2022년 3월 11일부터 14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

[기획] 배달앱 이용행태 조사

배달비 인식에 대한 조사는 "[기획] 배달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배달비에 대한 인식 조사" 를 확인해 주세요. 배달앱 이용 경험 응답자 75%, 지난 해 8월 ~ 올해 2월 사이 배달앱 이용 경험 있다고 답해 40대 이하에서는 5명 중 4명 이상이 ‘배달앱 이용 경험 있음’ 지난 해 8월부터 올해 2월 사이, 한 번이라도 음식배달전문플랫폼 [...]

[기획] 배달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배달비에 대한 인식 조사

배달앱 이용 행태에 대한 조사는 “[기획] 배달앱 이용행태 조사” 를 확인해 주세요. 코로나19로 인해 배달 수요가 늘면서 배달앱 이용자도 크게 늘었다. 아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21년 7월 기준, 국내 배달앱의 월간 순이용자 수(MAU)는 배달의민족 2,073만명, 배달요기요 818만명, 쿠팡이츠 526만명으로 집계되었다. 다양한 음식을 간단한 주문을 통해 집 앞까지 배달해주는 편리함에 이용자들은 만족하지만, 최근에는 배달비에 대한 부담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

[기획] 재활용 및 음식물쓰레기 배출 기준 지식과 실천 수준, 나는 몇 점일까요?

쓰레기 종량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된 것은 1995년으로 올해로 26년이 되었고 이와 함께 재활용 분리배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후 2013년부터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도입되었다. 재활용과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은 우리 일상에서 매우 당연한 일이 되었지만 재활용 분리수거함 앞에서, ‘여기 버리면 되나?’라는 고민을 해 본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내 집에 이전보다 늘어난 종이 상자와 ‘뽁뽁이(에어캡)’, 아이스팩 등을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