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난리서치] 내가 선호하는 취미활동, 배우자에게 권장하는 취미활동

배우자의 취미활동은 어디까지 허용할 수 있을까? 기혼남녀에게 이는 논쟁적인 주제이고, 때에 따라서는 배우자의 취미활동이 부부관계를 악화시키는 큰 요인이 되기도 한다. 취미활동의 빈도와 목적, 고려사항 등과 함께 배우자에게 권장하는 취미활동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기획] 국내여행보다는 해외여행? 한 달 살기 의향은? – 선호하는 여행 행태에 대한 조사

사람들은 국내여행과 해외여행 중 무엇을 더 선호할까? 여행 전 최대한 상세하게 여행계획을 짜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한 달 살기와 볼런투어 중 어떤 여행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을까? 다양한 여행 행태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해 보았다.

[기획] 2023년 하반기 여행계획 및 국내·외 여행에 대한 인식 비교

3년간 지루하게 이어진 코로나19 터널을 지나, 일상으로의 완전한 전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외부활동 자제와 거리두기로 움츠러들었던 여행 수요 또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로 인한 제약 없이 맞이하는 여름 여행성수기를 앞두고, 올 하반기 여행 계획과 국내·외 여행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별난리서치] 짜장면vs짬뽕, 탕수육부먹vs찍먹… 음식밸런스게임의 결과는? (부제: 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그룹분류)

짜장면 vs 짬뽕, 탕수육 부먹 vs 찍먹, 족발 vs 보쌈...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음식밸런스게임 문항이다. 재미로만 즐겼던 음식밸런스게임을, 조금 진지하게 접근해 보았다. 13개 음식밸런스게임의 승자는 누구인가? 그리고 사람들의 음식 취향은 어떻게 구분이 될까?

[기획] 코로나19 시대 국내 여행의 변화와 향후 전망

코로나19는 2020년 1월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확진자의 증가, 감소가 반복되며 2년째 장기화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국민여행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 우리나라 국민의 해외 여행 경험률은 꾸준히 20%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2019년 23.2%, 2018년 22.4%, 2017년 20.8%) 코로나19 이후 해외 여행길은 막혀버렸다. 최근 백신 접종 완료자를 대상으로 일부 국가에서 자가격리 기간을 면제하며 해외 여행객을 허용하고 있으나 여러 번의 추가 검사와 [...]

[코로나19] 코로나19 이후, 여행산업 및 문화체육예술계의 비대면 서비스 전환 전망

※ 편집자 주 본 보고서는 11월 13일 ~ 11월 16일 실시한 조사의 결과입니다. 코로나19 국내상황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여론의 변동폭도 큰 상황입니다. 조사 시점을 감안해 결과를 해석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 속의 여론’ 팀은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지속적으로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이후, [...]

[기획] 대한민국 영화산업, 기회와 위기 사이

2019년은 한국영화산업의 새로운 한 획을 그은 해로 기억될 만하다. 1919년 단성사에서 최초의 한국영화 ‘의리적 구토’가 상영된 이래 100년이 흘렀고, 무려 다섯 편의 영화(<극한직업>, <어벤져스: 엔드게임>, <알라딘>, <기생충>, <겨울왕국2>)가 천만 관객을 동원했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에 이어 올해 2월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을 달성하며 한국영화의 위상을 드높였다. 그러나 화려함 아래 드리운 그늘도 만만치 않다. 최근 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