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지표

사회지표2022-04-13T08:10:00+09:00

[기획] 의대 정원 확대 여론, 어떻게 변했을까?

의대 입학 정원 확대를 놓고 정부와 의사 간 대립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시민들의 불편함과 피로도가 가중되고 있다. 한 달 전과 마찬가지로 의사 증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여전히 우세하나, 구체적인 증원 규모와 방식은 정부와 의료계가 협의해 새로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By |2024년 3월 27일|사회, 사회갈등, 의료·보건|

[22대 총선 특집] 선거구별 인구구성 및 인구변화 분석

제22대 총선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지역 주민의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지역구와 가장 낮은 지역구는 어디일까? 4년 전과 비교할 때, 평균연령이 감소한 유일한 지역구는 어디일까? 18-29세 유권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구는 어디일까? 254개 지역구 별 인구구조를 확인해 보았다.

By |2024년 3월 27일|정치, 선거|

[경제안보지표 – 2024년 3월 3주차] 국가안보 인식지수, 2023년 말 수준으로 회복

가정경제 인식지수와 국가경제 인식지수 모두 한 달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국가안보 인식지수는 두 달 연속 상승해, 지난해 말 수준을 회복하였다.

By |2024년 3월 27일|대통령, 정치, 경제, 안보 평가 및 전망|

[2024 젠더인식조사] 젠더갈등, 정말 심각한 문제인가? 서로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는 지점 있어

한국사회의 젠더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1년 전 대비 다소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2·30대와 40대 이상 간 온도차이도 확인된다.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직장 내 여성차별이 심각하다는 데, 3명 중 1명은 가정 내 여성차별이 심각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으나, 세대와 성별 간 차이는 뚜렷하다.

By |2024년 3월 20일|사회, 사회갈등, 젠더|

[사회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4년 3월] 의료기관 역할수행 긍정평가, 반년 새 반토막

지난 조사까지 꾸준하게 높았던 의료기관에 대한 역할수행 긍정 평가가 이번 조사에서 반토막이 났다. 반면 지난 조사에서 크게 하락했던 초·중등교육기관에 대한 평가는 이번 조사에서 반등에 성공하였다.

By |2024년 3월 20일|사회, 사회일반|

[기획] 두 번째 스무 살? 퇴직 후에도 다시 일해야 할까? – 퇴직 후 경제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일컫는 ‘두 번째 스무 살’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고 익숙해지고 있다. 사람들은 실제로 퇴직 후 경제활동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을까? 언제까지,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기를 원할까?

By |2024년 3월 13일|사회, 노동, 세대|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