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안보지표 – 2022년 6월 1주차] 현재 국가경제 및 안보 평가는 하락, 전망은 개선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 및 안보상황이 좋지 않다는 응답이 증가하였다. 반면, 앞으로의 국가경제 및 안보상황은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 및 안보상황이 좋지 않다는 응답이 증가하였다. 반면, 앞으로의 국가경제 및 안보상황은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하였다.
퇴임 직전인 지난 5월 6일 ~ 9일 진행한 조사에서 문재인대통령 국정운영지지율은 상승세를 이어가, 오차범위 내에서 국정운영 긍정평가가 우세하였다. 문재인대통령에 호감이 간다는 응답도 과반에 달했다.
6개 주요 대통령 리더십 차원에 대한 평가가 모두 상승하였다. 특히 국가 위기상황 대처, 국민·정치권과 소통 항목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국가경제 인식지수는 지난 2020년 12월 이후, 국가안보 인식지수는 지난 2021년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요 5개국 지도자에 대한 호감도를 확인한 결과,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제외한 4개 국가 지도자의 호감도는 20점을 넘지 못했다. 푸틴 대통령에 대해서는 10명 중 8명 이상이 매우 비호감에 해당하는 낮은 점수를 주었다.
보건·의료정책 긍정평가는 상승했으나, 교육정책 평가는 하락하였다. 일자리·고용정책 긍정평가는 20%대로, 주거·부동산 정책 긍정평가는 한자리 대로 떨어졌다.
문재인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45%로, 지난 2020년 11월 둘째 주 이후 가장 높았다. 반면 우리나라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응답은 두 달 째 30% 내외 수준에 그쳤다.
10개 정보·사정기관 모두 역할수행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이 작년 10월 대비 상승하였다. 하지만 경찰청과 검찰청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좋지 않았다.
가정·국가경제 및 안보에 대한 인식을 현재 상황 평가와 이후 전망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뒤, 평가와 전망의 순 긍정 응답비율을 산술평균하여 지수(-100과 100사이의 값)로 만들었으며, 이는 미국갤럽의 경제인식 인덱스(Gallup's U.S. EconomicConfidence Index)를 참고하였다. 가정경제 인식지수 가정경제 인식지수 -12, 지난 조사 대비 2포인트 증가 최근 응답자 본인 가정의 경제상황 평가와 앞으로의 경제상황 전망을 종합한 가정경제 인식지수는 -12포인트로, 지난 [...]
대통령 국정평가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평가 42%, 지난 조사 대비 1%포인트 감소 문재인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42%로 지난 조사(43%) 대비 1%포인트 감소하였다. 국정운영을 잘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지난 조사 대비 3%포인트 감소하였다. ※ 국정평가 변화(10월 2주 이후) ※ 2018년 이후 국정평가 변동 추이 ※ 응답자 특성별 긍정평가(최근 6개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