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3년 3월] 의료기관 역할수행 긍정평가 큰 폭 하락

의료기관이 자신의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대기업, 사회복지시설·기관, 초·중등교육기관에 대한 평가도 지난 해 8월보다 나빠졌다.

[경제안보지표 – 2023년 2월 4주차] 가정경제 인식지수 -31, 역대 최저치

현재 가정경제 상황과 향후 가정경제 전망을 종합한 가정경제 인식지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가경제와 국가안보 인식 또한 부정적인 흐름이 이어졌다.

[경제안보지표 – 2023년 1월 4주차] 현재 가정경제 및 국가안보 상황 평가, 2018년 이후 가장 부정적

국가안보 인식지수가 북한 무인기 사건 직전 조사 대비 11포인트 하락했다. 현재 가정경제 상황, 현재 국가안보 상황에 대한 평가는 모두 조사 시작 이래 가장 부정적이었다.

[주변국 호감도 – 2023년 1월] 일본 호감도 역대 최고, 북한 호감도 역대 최저

일본 호감도가 상승세를 이어가, 본 조사를 시작한 2018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북한 호감도는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경제안보지표 – 2022년 12월 4주차] 가정경제 인식지수 상승세 제동

두 달 연속 이어진 가정경제 인식지수의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12월 26일 북한의 무인기 침범 이전, 국가안보 인식지수는 두 달째 상승하였다.

[경제안보지표 – 2022년 11월 4주차] 국가안보 및 국가경제 인식지수, 한달 전 대비 상승

가정경제 및 국가경제 인식지수가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국가안보 인식 역시 반등에 성공했다.

[주변국 지도자 호감도 – 2022년 10월] 기시다 총리 호감도, 지난 4월 대비 8.3점 상승

지난 4월에 이어,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제외한 4개 국가 지도자의 호감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다만, 일본 기시다 총리의 호감도는 4월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경제안보지표 – 2022년 10월 4주차] 국가안보 인식지수, 다시 한 번 역대 최저치 기록

가정경제 및 국가경제 인식지수는 소폭 반등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국가안보 평가와 전망은 다시 한 번 큰 폭으로 하락, 한 달 만에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

[주변국 호감도 – 2022년 10월] 일본 호감도, 무역분쟁 이전 수준으로 회복

일본 호감도가 무역분쟁 이전인 2019년 3월 이후 처음으로 30도를 넘어섰다. 반면 북한 호감도는 2018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고, 미국 호감도 역시 지난 7월 대비 소폭 하락했다.

[정보·사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2년 9월] 검찰청 역할수행 긍정평가 7%포인트 상승

11개 정보·사정기관 모두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보다는 잘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높았다. 검찰청과 경찰청에 대한 긍정평가가 상승한 가운데, 이번 조사에 처음으로 포함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았다.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