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인공지능 인식조사] 주요 영역별 인공지능(AI) 발전 평가 및 직업 수행 전망
인공지능은 막대한 데이터를 이전보다 빠르게 학습하며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인간이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경고의 목소리마저도 들려온다. 그런데 논리적 연산이나 추론 외에 언어나 음악, 대인관계 관련 지능도 충분히 발달했을까? 인공지능이 인간의 모든 직업을 대체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 발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집단별 갈등인식 – 2023년] 이념갈등, 여전히 우리나라의 가장 큰 갈등 축
여야갈등, 보혁갈등 등 이념갈등은 여전히 우리사회의 가장 주요한 갈등 축으로 확인되었다. 기성세대-젊은세대 간 갈등, 수도권-지방 간 갈등, 기업가-노동자 간 갈등이 크다는 인식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획] 직장 내 세대차이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직장 내 세대차이는 직장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의 주요 고충 중 하나이다. 한 팀으로 구성되어 같이 일을 하지만, ‘요즘 것들’과 ‘꼰대’로 구분되어 서로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런데 세대 간 직장에 대한 인식 및 태도는 정말 차이가 있을까?
[2023 대북인식조사] 북한에 대한 인식 및 대북정책 방향성 평가
우리 정부는 남과 북의 이질화된 사회를 하나의 공동체로 회복・발전시켜, 궁극적으로는 ‘1민족 1국가’의 통일국가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북한을 '단일민족 단일국가'로 보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주요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 2023 북한인권보고서 공개 여론 등도 같이 확인해 보았다.
[기획] 문신, 예술이자 의술 – 문신업 합법화에 대한 인식조사
2021년 6월 보건복지부가 국회 입법조사처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문신 시술 이용자를 1,300만 명으로 추정할 정도로 문신은 대중적인 영역에 들어섰다. 하지만 문신 수요와 업계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의료인이 아닌 문신사의 문신 시술은 불법이다. 문신 및 문신업 합법화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2023 대북인식조사] 북한 이미지와 남북관계 전망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및 군통신선 일방적 차단,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북한과의 긴장관계는 연일 그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남북 관계가 경직된 현 상황에서 국민들은 남북 관계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남북 관계 및 북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이미지를 확인해 보았다.
[정보·사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3년 4월] 해양경찰청 역할수행 긍정평가 45%, 공수처 12%
해양경찰청이 자신의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은 지난 9월 대비 상승했다. 검찰청과 국군방첩사령부(전 군사안보지원사령부), 국방정보본부에 대해서는 진보층과 보수층의 평가가 사뭇 달랐다.
[2023 젠더인식조사] 젠더갈등과 성차별 인식
한국사회의 젠더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여전히 우세하며, 향후 개선 전망도 밝지 않았다. 우리 사회 양성평등 수준이 낮다는 의견이 우세하나, 이를 개선하려는 제도적 뒷받침은 부족하다고 보고 있었다.
[기획] 글로벌식량안보 위협, 대한민국이 갈 길은? – 식량안보 인식 및 대응방안 조사
기후변화와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식량 보호주의 경향이 심화되면서 식량안보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정책과 방향성, 그리고 먹거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헌법기관 역할수행평가 – 2023년 3월] 국군 역할수행 긍정평가 큰 폭 하락
국군이 자신의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난 해 9월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대통령과 국회 등 다른 헌법기관에 대한 역할수행 평가도 부정적인 가운데, 행정부와 감사원, 법원에 대한 평가는 이념성향별로 엇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