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국 호감도 – 2019년 10월 1주차] 한반도 주변국 감정온도

주변국에 대한 감정온도 전반적으로 감소 한반도 주변 5개국 각각에 대해 평소 느끼고 있는 감정을 0도에서 100도 사이로 표시하게 한 결과, 미국에 대한 감정온도가 50.9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러시아 40.7, 북한 38.4, 중국 36.1, 일본 20.6 순이었다. 주변국에 대한 호감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사개요 모집단: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표집틀: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2019년 9월 기준 약 45만명)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비례할당추출표본크기: [...]

[주변국 호감도 – 2019년 9월] 한반도 주변국 감정온도

일본에 대한 감정온도 소폭 상승 한반도 주변 5개국 각각에 대해 평소 느끼고 있는 감정을 0도에서 100도 사이로 표시하게 한 결과, 미국에 대한 감정온도가 52.6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러시아 41.9, 북한 40.5, 중국 38.6, 일본 23.1 순이었다. 일본에 대한 감정온도는 작년 2월부터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이다 5월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이번 조사에서 소폭 상승하였다. 조사개요 모집단: 전국의 만 [...]

[주변국 호감도 – 2019년 8월] 한반도 주변국 감정온도

일본에 대한 감정온도 급격한 감소 한반도 주변 5개국 각각에 대해 평소 느끼고 있는 감정을 0도에서 100도 사이로 표시하게 한 결과, 미국에 대한 감정온도가 48.6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러시아 39.2점, 북한 37.0점, 중국 35.2점, 일본 18.1점 순이었다. 일본에 대한 감정온도는 작년 2월부터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이다 5월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최근 수출규제 논란이 계속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담당자: 오승호 부장전화: [...]

[주변국 호감도 – 2019년 7월] 한반도 주변국 감정온도

일본에 대한 감정온도 급격한 감소 한반도 주변 5개국 각각에 대해 평소 느끼고 있는 감정을 0도에서 100도 사이로 표시하게 한 결과, 미국에 대한 감정온도가 55.0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러시아 43.5점, 북한 42.2점, 중국 35.0점, 일본 22.2점 순이었다. 일본에 대한 감정온도는 작년 2월부터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이다 이번 조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최근 수출규제 논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담당자: 오승호 부장전화: 02-3014-0167e-mail: [...]

[주변국 호감도 – 2019년 5월] 한반도 주변국 감정온도

북한에 대한 감정온도 작년 10월부터 하락세 한반도 주변 5개국 각각에 대해 평소 느끼고 있는 감정을 0도에서 100도 사이로 표시하게 한 결과, 미국에 대한 감정온도가 53.8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러시아 40.8점, 북한 40.0점, 중국 34.9점, 일본 29.9점 순이었다. 북한에 대한 감정온도는 작년 10월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그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북미정상 회담 결렬과 최근 미사일 발사 논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

[주변국 호감도 – 2019년 3월] 한반도 주변국 감정온도

북한에 대한 감정온도 작년 10월부터 하락세 한반도 주변 5개국 각각에 대해 평소 느끼고 있는 감정을 0도에서 100도 사이로 표시하게 한 결과, 미국에 대한 감정온도가 55.7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북한 43.6점, 러시아 40.9점, 중국 34.6점, 일본 30.7점 순이었다. 북한에 대한 감정온도는 작년 10월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그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북미정상 회담 결렬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담당자: 오승호 [...]

[기획] 대북안보 인식 중간점검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단일팀 구성, 고위급 회담 → 두 차례 남북 정상대화 → 북미대화까지 숨가쁘게 내달렸던 “정상회담 국면”이 일단락되고 본격적인 남북교류, 비핵화 협상 국면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번 현안 조사는 호흡을 가다듬으며 지난 6개월간 펼쳐진 정상회담 시리즈 국면에서 한국인의 대북 안 보 의식에서 발생한 변화를 추적하고 그 의미를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이번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과 북미회담에 대한 평가를 보면 응답자 80% 이상이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