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지표

사회지표2022-04-13T08:10:00+09:00

[코로나19] 예방접종 의향 조사(2023년 11월)

11월 27일 기준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8.5%를 기록중인 가운데, 여전히 성인 남녀 중 절반 이상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코로나19 백신 효능감은 한 달 전 대비 소폭 상승했다.

By |2023년 11월 28일|코로나19 방역·대응, 코로나19|

[경제안보지표 – 2023년 11월 4주차] 국가경제 인식지수 반등, 국가안보 인식지수는 변동 없어

미래 국가경제 전망이 개선되면서, 석 달 연속 하락했던 국가경제 인식지수가 반등하였다. 북한이 정찰위성을 발사했고 우리 정부가 '9·19 남북 군사합의'의 효력을 일부 정지했으나, 국민이 체감하는 국가 안보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By |2023년 11월 28일|대통령, 정치, 경제, 안보 평가 및 전망|

[기획] 2023년 국가 자부심, 어떻게 변화하였나?

2023년 현재, 우리 국민들은 국가에 대해 얼마나 자부심을 느끼고 있을까? 과거와 비교해 본다면 어떻게 달라져 있을까? 지난 2019년부터 진행해 온 국가자부심 여론조사의 연속선 상에서, 기존 조사 결과들과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그 변화의 원인을 규명해 보았다.

By |2023년 11월 21일|사회, 국가자부심|

[2023 교육인식조사] 대학 서열화와 학력 차별 인식, 교육자의 역량 및 자질 평가

초·중·고 교사의 역량 및 자질을 신뢰하는 사람이 지난 해 대비 10%포인트 증가했다. 우리나라에서 대학 서열화가 심각하다는 사람, 학력 및 학교급간 차별이 심각하다는 사람은 2021년 이후 꾸준히 8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By |2023년 11월 21일|사회, 교육·시험|

[주변국 지도자 호감도 – 2023년 10월] 주요 5개국 지도자 호감도, 국가 호감도보다 모두 낮아

일본 기시다 총리에 대한 호감도는 지난 4월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20도 초반대의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18-29세에서 시진핑 주석, 김정은 국무위원장, 푸틴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는 10도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By |2023년 11월 21일|주변국 호감도, 국제|

[질병관리청-한국리서치 특별기획] 감염병 관련 국민인식조사

정부는 코로나19 방역 대응과정에서의 경험과 한계점을 바탕으로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 10대 핵심 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의료대응, 사회·고용, 경제·산업 분야 등에서 코로나19가 미친 영향과 지난 3년여간 이루어졌던 정책을 평가하고 정책과제를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방역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을 확인하고, 국민 수용성을 고려한 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