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교육인식조사] 대학 진학 및 학력에 대한 인식
전체 응답자 3명 중 2명이 우리나라에서 대학 진학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대학 진학을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3년 전 대비 감소했으나, 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공고한 인식이 확인되었다.
전체 응답자 3명 중 2명이 우리나라에서 대학 진학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대학 진학을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3년 전 대비 감소했으나, 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공고한 인식이 확인되었다.
대학 취학률의 변화 2020년 대학 취학률 70.4%(남학생 68.2%, 여학생 72.9%) 여학생 대학 취학률은 2015년부터 남학생을 앞서기 시작,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음 우리나라의 2020년 대학 취학률(만 18세~21세 취학적령인구 중 대학 재적학생 수 비율)은 70.4%로, 2008년 이후 가장 높았다. 전년 대비 증가폭도 2005년(3.9%포인트) 이후 가장 높은 2.6%포인트였다. 2011년부터 대학 취학률 감소세가 이어져 2018년에 66.9%까지 [...]
2019년 11월 14일로 예정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이제 100일이 채 남지 않았다. 현재 우리사회에서는 대학입시 및 대입제도, 대학입학 학령인구의 감소 및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대학진학 선호 및 지방소재 대학의 위기 등 대학을 둘러싼 다양한 이슈가 논의되고 있다. 더불어 대학 서열화 및 학력 차별 문제도 과도한 사회적 비용의 발생과 격차의 심화라는 측면에서 개선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여론 속의 여론>은 우리나라 국민이 [...]
학교 통폐합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54%이지만, 반대한다(29%)와 모르겠다(17%)는 응답도 적지 않다. 연령별 입장이 다소 상이하다. 통폐합 문제가 당면현안인 중소도시와 상대적으로 문제의식이 크지 않은 대도시 간 차이가 있을 것이다. 확인해 볼 사안이라 할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의 학생인격, 교권, 학생과 선생님의 상호 존중 정도, 운영의 민주성 등에 대한 긍정평가 모두 과반에 못 미친다. 학교 현장에 대한 고민이 많으신 원로 분께서 인권이나 교권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