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가족인식조사] 가족의 범위 및 정상 가족에 대한 인식
자녀,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 등 가장 가까운 혈족과 인척까지는 '우리 가족' 이라는 인식이 여전히 공고하나,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가족이라 생각하는 범위도 좁았다. 전통적인 가족 형태를 정상가족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지만,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사람 또한 적지 않다.
자녀,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 등 가장 가까운 혈족과 인척까지는 '우리 가족' 이라는 인식이 여전히 공고하나,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가족이라 생각하는 범위도 좁았다. 전통적인 가족 형태를 정상가족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지만,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사람 또한 적지 않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가족에 대한 정의가 점차 달라지는 듯하다. 2020년 기준 세대 구성별 가구분포와 2040년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한 가구를 구성하는 세대가 단순해지고 구성원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된다. 사람들은 가족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보고 있을까? 어떤 형태의 가족을 '정상 가족'이라고 생각할까?
우리 사회의 변화, 다양한 가치관의 등장으로 전통적 결혼관이 과거보다 약화되고 있다. 일면에서는 결혼 및 혼인제도를 개인의 자유와 선택이라는 관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비혼 인구가 증가하고 핵가족을 벗어난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생겨나는 현시점에서 비혼, 비혼동거, 비혼동거 출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비혼동거 가구에 대한 제도적 지원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팀은 2022년 1월 7일~10일까지 남녀 만 18세 [...]
가족 관계 만족도 전반적인 가족 관계에 만족한다 50%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54%)보다는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66%)가 높아 전체 응답자의 50%가 전반적인 가족 관계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매우 만족한다 17%, 약간 만족한다 33%), 보통이라는 응답은 41%였다. 여자(만족한다 45%)보다는 남자(56%), 그리고 20대(56%)에서 가족 관계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54%가 만족한다고 답했다(매우 만족한다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