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인식, 백신접종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3월 4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지난 2020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독감접종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백신도 1년에 한 번 접종하는 것으로 전환한다고 밝힌 가운데, 10명 중 4명은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질병관리청-한국리서치 특별기획]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수립 국민인식조사

최근 신종감염병 발생 주기는 짧아지고, 그 규모는 커지는 추세이다. 반면 감염병 위기 대응을 위한 기반 구축은 장시간 소요됨을 고려 시, 미래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전략의 신속한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질병관리청은 한국리서치와 함께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주요 방역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수용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고자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마스크 착용 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3월 2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지난 해 6월 이후, 내가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은 지난 해 7월 이후 가장 낮았다.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가 임박했으나, 10명 중 7명은 규제 변화와 관계없이 실내에서 계속 마스크를 착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백신접종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2월 4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6차 유행이 이어졌던 지난 해 8월의 1/3 수준으로 낮아졌다.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지난 해 11월 이후 감소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마스크 착용 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2월 2주차)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감소세를, '내가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은 낮다'은 인식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1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완화됐으나, 대다수는 병원, 대중교통 외 다른 실내 공간에서 계속 마스크를 착용한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백신접종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1월 4주차)

1월 초 이후 일일 확진자 수가 점진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코로나19 상황 및 감염 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차 이상 접종을 마친 사람 10명 중 4명 가량은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여전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마스크 착용 의향 및 정부대응평가(2023년 1월 2주차)

지난 해 6월 마지막 주 조사 이후 처음으로, 정부 코로나19 대응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앞섰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가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10명 중 7명 이상은 규제 변화와 관계없이 실내에서 계속 마스크를 착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12월 4주차)

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코로나19 상황 심각성과 정부 대응 평가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여전히 10명 중 4명 이상이 2가 백신 접종 의향이 없다는 입장이었으나, 60세 이상에서는 3명 중 2명이 이미 접종을 했거나, 접종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12월 2주차)

신규 확진자 수가 일평균 5-6만명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코로나19 상황인식과 정부 대응 평가는 소폭 개선되었다. 보건당국이 실내 마스크 의무화 해제를 검토하기 시작한 가운데, 이에 대한 찬반은 엇갈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 상황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11월 4주차)

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과 최대 7만 명까지 나오고 있으나, 국내 확산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정부는 2가백신(개량백신)의 접종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으나, 2가백신 접종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오히려 한달 전 대비 소폭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