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학2022-05-11T08:09:00+09:00

[기획] AI와 인간의 공존, 그리고 ‘윤리성’

지난 1월, AI 챗봇 '이루다'가 서비스 이용자들로부터 성소수자, 장애인, 여성 등에 대한 혐오 표현을 학습하고, 이를 직접 이용자들에게 발언한 사건이 발생했다. 일부 이용자들은 '이루다'에게 수위 높은 성적 발언을 하여 더욱 문제가 됐는데,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서는 'AI가 성희롱의 대상이 될 수 있느냐'의 문제로 논란이 일었다. 이에 더해 개발사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

By |2021년 4월 28일|인공지능, 기술과학|

[기획] SNS와 코로나19 이후 인간관계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 발생 1년이 넘어가는 지금, ‘마음 방역 ’에도 비상이 걸렸다. 단계별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을 지속하면서 모임과 만남이 줄어들고, 대부분이 예년과 다른 2020년을 보냈기 때문이다. 외로움이 커지고, 소속감이 줄어들 때 우울감이 찾아오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맞서, 누군가는 SNS 활동을 통해 멀어진 친구들과 안부를 주고받기도 하고, 누군가는 집콕 [...]

[기획] 악성 댓글, 규제와 차단이 최선인가 – 댓글에 대한 인식 조사

[series_post_list_box] 2019년 10월 25일 가수겸 배우 설리의 극단적 선택을 계기로 악성 댓글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 이후, 정치권에서는 ‘악플방지법’을 발의하기도 하였다. 대형 포털은 악성 댓글을 막기 위한 조치를 시행하였다. 2019년 10월 다음, 2020년 3월 네이버, 같은 해 7월 네이트는 연예 뉴스 댓글 서비스를 폐지하였다. 하지만, 여자 프로배구 [...]

By |2021년 1월 20일|사회, 인터넷·SNS, 기술과학, 미디어|

[코로나19] 코로나19 이후, 여행산업 및 문화체육예술계의 비대면 서비스 전환 전망

※ 편집자 주 본 보고서는 11월 13일 ~ 11월 16일 실시한 조사의 결과입니다. 코로나19 국내상황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여론의 변동폭도 큰 상황입니다. 조사 시점을 감안해 결과를 해석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 속의 여론’ 팀은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지속적으로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

[기획] 디지털 정보격차: 언택트 문화 확산의 빛과 그림자

음식점에 가서 점원에게 주문하는 대신 배달앱을 통해서 음식을 시키고, 카페에 들어가기 전에 커피 주문을 하고, 열차 예매를 창구에 줄 서서 하는 대신 홈페이지와 어플을 통해 하는 모습은 우리에게 더 이상 낯선 모습이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언택트 (비대면) 문화의 확산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가속화 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기반의 비대면 [...]

By |2020년 8월 26일|사회, IT·정보통신, 기술과학, 인간관계|

[기획] 키오스크(KIOSK)이용, 얼마나 편하신가요? – 키오스크 이용인식 조사

키오스크 단어 인지, 이용 여부 ‘키오스크’, 익숙하지 않은 단어이지만 이용 경험 있다는 응답 80% 키오스크(kiosk)는 일부 면이나 전면이 개방된 정자(pavilion)를 뜻하는 페르시아어 kūshk에서 유래한 말로, 우리나라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무인 판매기나 주문기, 안내용 기기를 가리키는 말로 굳어져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번 조사에서는 ‘키오스크’라는 단어에 아직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

By |2020년 8월 24일|IT·정보통신, 기술과학|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