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78차 인식조사(2023년 3월 2주차)

응답자 10명 중 7명이 코로나19 방역보다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코로나19 이전보다 외부활동을 '매우 자제'한다는 사람은 지난 해 5월 이후 감소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76차 인식조사(2023년 2월 2주차)

코로나19 일상 회복 시기가 앞당겨 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한 달 전 대비 상승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한 달 전 대비 소폭 상승했다.

[코로나19] 74차 인식조사(2023년 1월 2주차)

지난해 10월 이후, 경제회복이 방역보다 중요하다는 응답을 두 배 가까이 앞서고 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앞뒀으나, 10명 중 4명만이 올해 안에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적인 삶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코로나19] 72차 인식조사(2022년 12월 2주차)

가까운 시일 내 코로나19 이전 일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상승했다. 한 달 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방역당국에 대한 신뢰도는 이번 조사에서 반등에 성공하였다.

[코로나19] 70차 인식조사(2022년 11월 2주차)

질병관리청을 신뢰한다는 응답이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 2월 이후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방역보다는 경제회복을 더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여전히 크게 높았다.

[코로나19] 68차 인식조사(2022년 10월 2주차)

코로나19 확산세가 잦아들면서, 방역보다는 경제회복을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통령실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등 코로나19 대응 공적 주체에 대한 신뢰도는 두 달 연속 상승하였다.

[코로나19] 67차 인식조사(2022년 9월 5주차)

코로나19가 가정경제에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두 달째 상승하였다. 지역 명소 방문, 경조사 참석, 지인과의 모임·회식 등 외부활동 경험이 있다는 응답 또한 한 달 전 대비 상승해, 본 조사 시작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66차 인식조사(2022년 9월 3주차)

코로나19 확산세가 잦아들면서, 방역보다는 경제회복을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상승했다.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완전히 해제됐지만, 10명 중 6명 이상은 규제 변화와 관계없이 실외에서 마스크를 계속 착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 65차 인식조사(2022년 8월 4주차)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 2주간 외부활동 경험 및 타지역 방문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소폭 상승했다.

[코로나19] 상황·백신 접종 인식 및 정부대응평가(2022년 8월 4주차)

국내 확산 상황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크게 떨어졌고, 대통령과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2회 연속 상승했다. 전반적인 코로나19 상황인식이 개선된 가운데, 3차 접종자 10명 중 4명은 4차접종을 받지 않겠다고 답했다.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