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60차 인식조사(2022년 6월 3주차)
경제회복·활성화보다 방역을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처음으로 30% 아래로 떨어졌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의 신뢰도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대통령실에 대한 신뢰도는 한 달 전 대비 하락했다.
경제회복·활성화보다 방역을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처음으로 30% 아래로 떨어졌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의 신뢰도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대통령실에 대한 신뢰도는 한 달 전 대비 하락했다.
코로나19 국내 상황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2주 전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대통령과 정부가 대응을 잘 한다는 응답도 소폭 상승했다.
조사 직전 2주간 외부 활동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코로나19 유행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피로감 역시 한 달 전 대비 하락했다.
코로나19 국내 확산 상황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10%대까지 떨어졌고, '내가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도 석 달 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정부 대응 평가가 다소 하락하긴 했으나, 코로나19 상황 인식은 점차 개선되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안에 일상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한 달 전 대비 8%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응답은 방역을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보다 높았다.
코로나19 국내 확산 상황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다시 한 번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한 달 여가 지난 상황에서, 최근 1주일 간의 대면 모임 경험과 만난 지인의 수 역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감소하면서, 대부분의 외부활동 경험이 코로나19 유행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피로감은 두 달 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확진자 수가 빠르게 감소하면서,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 사적 대면 모임 횟수와 만난 지인의 숫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확진자 수 감소와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조치가 이어지며, 올해 안으로 코로나19 일상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응답이 상승했다. 방역보다 경제회복·활성화를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 또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 확산 상황이 심각하다는 응답은 2020년 2월 조사 시작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통령과 정부가 대응을 잘 하고 있다는 응답도 약 넉 달 여 만에 50% 중반대로 올라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