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한국일보) 한국인이 야근을 많이 하는 이유


한국 사람들 다수가 ‘필요에 따른 분배’나 ‘산술적 평등’보다 ‘능력ㆍ노력에 따른 차등 분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한국사회에서 성공 요인은 부모의 배경과 연줄이 개인의 노력이나 재능보다 압도적으로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일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가 ‘공정성’을 주제로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 조사해 발간한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보수의 차이가 클수록 좋다’는 의견이 응답자의 66%로, ‘적을수록 좋다’는 의견(27%)의 두 배 이상이었다. 이렇게 임금에 차등을 둘 경우 그 기준으로는 ‘근무태도’를 꼽은 의견이 43%로 가장 많았고, ‘자질과 능력’(23%) ‘업무성과’(22%)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꼽혔다. 한국리서치는 이에 대해 “한국인들이 생산성보다 근면함을 공정한 보상의 기준으로 삼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한국인들이 왜 야근을 많이 하는지 납득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한국리서치# 한국일보# 정기조사# 여론조사# 여론속의여론# 정한울# 공정성# 기획조사# 이관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