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담한 선거연구] ③ 현 정당지지분포와 2024 총선 구도에 대한 이해(부제: 전국지표조사와 갤럽조사의 차이는 왜 생길까 – 정치 성향과 워딩 효과)

선거여론조사 방법으로서 전화면접조사와 ARS조사의 품질·정확성을 기존 연구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동일한 전화면접조사 간 결과 차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시론적 차원에서 문제 진단을 정리하였다.

[담담한 선거연구] ② 탄핵정치연합 해체 및 보수우위 정치구도로의 재편요인

더불어민주당은 2020년 총선에서 180석 의석을 확보하며 20년 장기집권론의 꿈을 키웠으나, 불과 2년만에 대통령선거에서 정권을 내 주었고 지방선거에서 12:5의 큰 패배를 맛보았다. 최근의 주요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2년 만의 급격한 민심 변동 과정을 추적해보았다.

[8회 지선 특집] 결과 분석 – 대선, 분할투표 그리고 부동산

서울특별시는 국민의힘, 경기도는 더불어민주당이 차지했으나, 기초자치단체장 투표에서는 뚜렷한 분할투표가 확인되었다. 한편, 지난 대선에 이어 이번 지선에서도 부동산 가격에 따라 투표율 및 득표율에 차이가 있었다.

[8회 지선 특집] 투표율 분석 – 26.2%는 어디에서 사라졌을까?

이번 제8회 지선 투표율은 50.9%를 기록했다. 석달 전 치러진 대선과 비교하면 투표율이 26.2%포인트나 하락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 득표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투표율이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20대 대선 특집] 세대와 부동산, 그리고 득표율

사전투표율과 최종투표율 간의 관계, 각 기초지자체의 인구구성에 따른 사전투표율 특징, 사전투표율에 따른 이재명,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 차이 등은 “[20대 대선 특집] 사전투표율 분석 – 사전투표율과 후보 득표율과의 관계는?” 보고서를 참고해 주세요. 세대별 인구구성비와 주요 후보 득표율 간 관계 호남 제외, 60대 이상 유권자 비율 [...]

[20대 대선 특집] 사전투표율 분석 – 사전투표율과 후보 득표율과의 관계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이번 20대 대통령선거의 사전투표율은 36.93%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017년 치러진 19대 대통령선거(26.06%)와 2020년 총선(26.69%)에서의 사전투표율을 10%포인트 이상 뛰어넘는 것으로, 높은 사전투표율로 인해 최종투표율은 80%를 넘기지 않을까 하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높아진 사전투표율이 선거 당일 투표율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코로나19 확진자 투표까지 모두 집계한 최종 투표율은 77.1%를 기록했다. 이는 19대 대선(최종투표율 77.2%)과 [...]

[담담한 선거연구] ① 4.7 재보궐선거 종합판세: 단일화 변수와 더불어민주당의 약점 – 서울, 여론 조사에서 동률이면 실제 투표에선 야권이 우세

2021년 4월 7일 보궐선거를 시작으로 2022년 20대 대통령 선거, 제8회 지방선거가 예정되어 있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팀은 2021년 3월부터 2022년 지방선거까지 한국리서치가 진행한 선거 여론조사 및 관련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민심 변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현재의 여론이 한국정치사회에 미칠 함의를 함께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번 호는 KBS·한국리서치가 서울과 부산에서 3월8-9일까지 실시한 보궐선거 여론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여론으로 본 단일화 변수와 더불어민주당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