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ㅍㅍㅅㅅ) 한국의 코로나 대응과 갑자기 나타난 사회적 신뢰
날짜2020-05-04
작성자 Level 10
조사 일시: 2020년 3월 13일 ~ 2020년 3월 16일
표본: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조사명: 코로나19 극복과 사회적 신뢰
조사 결과: https://hrcopinion.co.kr/archives/15309
관련 기사: (ㅍㅍㅅㅅ) 한국의 코로나 대응과 갑자기 나타난 사회적 신뢰
보도일: 2020년 5월 4일
원문 링크:
https://1boon.daum.net/ppss/5eafd40e91c40d10d1ad2d56

한국의 코로나 대응과 갑자기 나타난 사회적 신뢰


한국의 코로나 대응이 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한 이유 중 하나, 특히 시민들의 성숙한 대응에 대한 설명으로 등장하는 게 ‘사회적 신뢰’. 대표적인 게 코로나 사태에서 사회적 신뢰를 직접 조사했던 한국리서치 결과다. 코로나 사태는 한국이 신뢰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까지 얘기한다.

그런데 한국은 사회자본과 신뢰가 부족해서 문제인 사회라고 지금까지 마구 비판했다. 예를 들면 한국의 상호신뢰는 바닥을 긴다는 연합뉴스. 최하위 사회적 자본으로 선진국 못 된다는 동아사설. 다른 예도 차고 넘친다. 한국경제, 한겨레 블로그 등등.

없던 사회적 자본과 신뢰가 코로나 사태 속에 갑자기 뿅 하고 나타난 이 상황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당혹스러워하는 사회학자들. 이 블로그에 가끔 소개하는 최성수 교수도 페이스북에서 이 당혹감과 어떻게 설명할지 포스팅했다. [후략]

기사 전체보기
 
#코로나19# 사회적신뢰# 신뢰자본# 사회자본# 시민적 관여#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