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선관위의 유권해석이 위법임을 확답하지 못하고 원장직을 강행했다면 실제로 ‘시민 눈높이’는 어떻게 작동했을까. 정부 여당의 기대대로 국회의 관행이었다는 호소에 눈높이를 낮추었을까. 아니면 더 큰 역풍에 직면했을까. 대답이 쉽지 않다. 단순한 사퇴 찬반여론이 아닌 공적 책임에 대한 시민 스스로의 공적 의식과 시민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리서치가 올 1월에 실시한 시민의 공적 책임에 대한 시민성 진단 문항 결과를 통해 시민 스스로의 평가를 살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