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아트인사이트) 한국 영화 산업의 빛과 그늘
조사 일시: 2020년 2월 11일 ~ 2020년 2월 13일
표본: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조사명: 대한민국 영화산업, 기회와 위기 사이
조사 결과: https://hrcopinion.co.kr/archives/15151
관련 기사: (아트인사이트) 한국 영화 산업의 빛과 그늘
보도일: 2020년 8월 14일
원문 링크: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49367

한국 영화 산업의 빛과 그늘 [문화 전반]


하지만 화려한 성과 뒤에 한국 영화 산업의 어두운 그늘이 있음을 부인할 수가 없다. 그 단적인 예로 2016년 천만 관객을 기록한 영화 <베테랑>에 대한 홍지로 평론가의 비평을 들 수 있겠다. 요약하자면 이렇다. “황정민이 연기하는 서도철 형사는 ‘사나이’와 ‘가오’를 입에 달고 사는 가부장이고, 영화 속 여러 설정들로 볼 때 성차별주의자에 인종차별주의자일 가능성이 농후하며 필요 이상으로 공권력을 함부로 휘두르는 것에 거리낌이 없는 폭력 경찰에 가까운데, 그런 인물이 악덕 재벌 2세와의 싸움에 나섰다고 해서 마냥 응원하고 그 승리를 선뜻 환영해도 괜찮은 것인가”하는 우려였다.

관객들은 영화 속 인물들의 도덕성이나 스토리의 개연성을 따지기보다는 재미와 쾌감을 위한 영화들에 기꺼이 표 값을 지불한다는 점, 이러한 관객들의 선택이 한국 영화의 하한선을 계속해서 내려뜨리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단순히 관객의 탓으로만 돌리기는 어렵다. 여기에는 영화 산업의 구조적인 문제와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적 보완의 미흡성이 들어가 있다. ‘한국 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이 조사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5%가 한국 영화산업에 불만족을 표했다. 그 이유로는 “흥행에만 치중한 나머지 소재와 줄거리가 빈약하다”(69%)는 지적과 함께, “멀티플렉스의 스크린 독과점 문제”(57%)와 “영화마다 감독/배우진이 비슷하다”(53%)는 문제가 언급되었다.

여기에 더해, 전체 응답자 10명 중 5명(54%)이 대기업 위주의 스크린 독과점 등 불공정 거래 개선을 현 영화 산업의 가장 큰 과제로 언급했다. 즉, 현재 영화 산업에 대한 만족, 불만족 여부를 떠나 절반이 넘는 관객들이 영화계의 대자본 독점 폐해를 문제점으로 꼽고 있다는 사실이다. 흥미로운 점은 영화관 방문 횟수가 높은 관람객일수록 ‘대기업 수직 계열화’ 문제와 ‘대기업 스크린 독과점’ 문제를 인식하고 ‘다양성 영화’에 대한 의견을 주장한다는 점이다. 영화를 자주 접하는 ‘영화 애호가’의 객관적인 눈으로 봤을 때, 독과점 폐해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지표다. 그렇다면 한국 영화계의 대기업 독과점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란 말인가?

대체로 극장 자본과 배급 자본은 나뉘기 마련이다. 그런데 한국의 환경은 다르다. 3대 극장이 대형 배급사도 함께 갖고 있다. CJ가 CGV(극장)와 ENM(배급)을 함께 가진 식이다. 이런 상황에서 소규모 독립 배급사는 대형 배급사가 배급비를 낮춰버리면 울며 겨자 먹기로 더 싼 가격에 영화를 극장에 내걸어야 하는 실정이다. 갈수록 소형 배급사가 살아남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결국 대자본 입맛에 맞는 영화만 극장에 내걸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악순환은 계속되고, 더 이상 실력 있는 영화 인재가 재능을 펼치기 어려운 시스템이 되고 말았다. 대기업의 독과점으로 흘러가는 영화계의 구조는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으로만 이를 보완할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이렇다할 해결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이에 최영배 영화제작협회 부회장은 대자본의 극장-배급사 겸영 문제 개선, 예술영화 전용관 의무화와 스크린 독과점 금지 법제화를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필자 역시 여기에 적극 동의한다.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대기업 독점 시스템 개선과 반짝이는 인디영화계에 대한 적극 지원이 실시된다면 현재의 한국 영화의 수준은 더욱 높아지리라 전망한다. 이제 ‘한류 열풍’은 거품 낀 옛말이 아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영화, 드라마, 음악 등의 문화 콘텐츠 산업은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와 함께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를 높이고 있는 것만 보아도 전 세계가 한류를 주목하고 있다는 지표다. [후략]



기사 전체보기
 
#아트인사이트